킹 슬롯 궁수분곡 ()

고전시가
작품
1393년(태조 2)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 본 항목의 킹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393년(태조 2)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구성 및 형식

『악학궤범』·『악장가사』·『삼봉집』 등에 전한다. 「정동방곡(靖東方曲)」·「납씨가(納氏歌)」와 함께 조선의 건국과 태조의 무공을 찬양하고자 지은 노래이다.

형식은 시경체(詩經體) 4언시 12행이다. 압운에 의하면 4행 3장으로 구분된다. 제1장은 상평성지운(上平聲支韻)이고, 제2장은 입성직약통운(入聲職藥通韻)이며, 제3장은 하평성경운(下平聲庚韻)과 통운이다.

내용

킹 슬롯은 1380년(우왕 6) 이성계(李成桂)가 왜구를 지리산에서 대파한 뒤에 왜구들이 감히 육지에 올라와 소란을 피우지 못하였으므로, 백성들이 평안하게 되었음을 노래한 것이다. 이와 같은 킹 슬롯은 뒤에 「용비어천가」의 제47∼53장에 재현되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악장가사(樂章歌詞)』
『삼봉집(三峰集)』
• 항목 킹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킹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킹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