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군무사 ()

목차
근대사
제도
근대 개항기 군사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근대 개항기 군사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880년(고종 17) 설치 당시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軍務堂上)에는 민겸호(閔謙鎬)와 윤자덕(尹滋悳)이 임명되었다.

이듬해 11월 섀도 어 슬롯 강화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로 개편될 때에도 존속되었으며, 그 때 군무사에는 총무국·참모국·교련국 등 3국이 설치되었다. 군무사 당상경리사(堂上經理事)에는 이재원(李載元)·신정희(申正熙)·민영익(閔泳翊)·조희순(趙羲純)·이원회(李元會) 등이, 부경리사에는 홍영식(洪英植)이 임명되었다.

이들 가운데 민영익과 홍영식은 총무국에, 신정희와 조희순은 참모국에, 이재원과 이원회는 교련국에 각각 배치되어 업무를 나누어 맡게 되었다. 1882년 11월 섀도 어 슬롯 강화기무아문이 섀도 어 슬롯 강화아문과 섀도 어 슬롯 강화내무아문(統理內務衙門)으로 분화되고, 그 해 12월에 섀도 어 슬롯 강화아문이 섀도 어 슬롯 강화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개칭되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내무아문이 섀도 어 슬롯 강화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칭될 때 섀도 어 슬롯 강화군국사무아문에 소속되었다. 이 때 독판(督辦)에 김병시(金炳始), 협판(協辦)에 이교익(李喬翼)과 조준영(趙準永), 참의(參議)에는 민응식(閔應植), 주사(主事)에 이중하(李重夏)·윤태일(尹泰馹)·서상교(徐相喬) 등이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개화정책(開化政策)」(신용하, 『섀도 어 슬롯 강화사(韓國史)』 16, 1975)
「섀도 어 슬롯 강화기무아문설치(統理機務衙門設置)의 경위(經緯)에 대하여」(전해종, 『역사학보(歷史學報)』 17·18합집, 196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