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후기에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작품. 술을 의인화하여 지은 작품이다. 작자의 유고집인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권5과『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주인공 c 언어 슬롯 머신의 조상은 농서(隴西 : 중국 甘肅省에 있는 고을의 이름) 사람으로 90대 조상인 모(牟: 보리)가 후직(后稷: 옛적에 농사를 맡은 벼슬)을 도와 백성들을 먹여 살린 공이 있었다. 모는 처음에 벼슬하지 않고 숨어살며 이르기를 “나는 반드시 밭을 갈아야만 먹으리라.”고 하며 밭에서 살았다. 임금을 좇아 원구(圜丘: 하늘에 제사지내는 壇)에 종사한 공으로 중산후(中山侯)로 봉하여졌고, 국씨(麴氏)라는 성을 받았다.
위(魏)나라 초기에 이르러 c 언어 슬롯 머신의 아버지 주(酎: 소주 · 전국술 · 醇酒)가 세상에 이름이 알려졌다. 주는 상서랑(尙書郎) 서막(徐邈)과 더불어 서로 친해져서 입에서 떠나지를 않았다.
c 언어 슬롯 머신의 기국과 도량은 크고 깊어 출렁거리고 넘실거림이 마치 만경창파의 물과 같았다. 그래서 맑게 해도 더 맑지 않고, 흔들어도 흐려지지 않았으며, 그 맛이 한때에 드날리고 자못 사람에게 기운을 더해주었다.
c 언어 슬롯 머신은 군신의 회의에는 반드시 나아갔고, 그 진퇴와 수작이 임금의 뜻에 맞아서 마침내 권세를 얻게 되었다. 그리하여 c 언어 슬롯 머신은 손님접대 · 노인봉양 · 고사(告祀) 및 종묘제사를 모두 주재했다.
그러나 c 언어 슬롯 머신은 전벽(錢癖: 돈을 밝히는 병통)이 있어서 당시의 의론이 그를 더럽게 여겼다. c 언어 슬롯 머신이 늙어 관을 벗고 물러날 때에 임금에게 아뢰기를, “신이 작(爵)을 받고 사양하지 않으면 마침내 망신할 염려가 있사오니, 신을 집에 돌아가게 해 주시면 족히 그 분수를 알겠나이다”라 하였다. c 언어 슬롯 머신은 집에 돌아온 뒤에 갑자기 병이 들어 하루저녁에 죽었다.
사신(史臣)이 이르기를 “국씨의 조상이 백성에게 공이 있어 c 언어 슬롯 머신이 벼슬에 발탁되었으나, 왕실이 어지러워 엎어져도 붙들지 못하더니, 마침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이는 거원(巨源: 중국 晉나라의 문인인 山濤를 이름.)의 말이 족히 믿을 만하다”고 하였다.
임춘은 이 작품을 통해서 인생과 술의 관계를 문제삼고 있다. 즉, 인간이 술을 좋아하게 된 것과 때로는 술 때문에 타락하고 망신하는 형편을 풍자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인간과 술의 관계를 통해서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조명해본 것이다. 당시의 여러가지 국정의 문란과 병폐, 특히 벼슬아치들의 발호와 타락상을 증언하고 고발하려는 의도의 산물이다.
≪c 언어 슬롯 머신전≫은 소아배들의 득세와 뛰어난 인물들이 오히려 소외되는 현실을 풍자,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