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국립수산과학원 ()

목차
관련 정보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
산업
제도
수산에 관한 시험연구 및 기술지도와 그 보급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산하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수산에 관한 시험연구 및 기술지도와 그 보급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산하기관.
연원 및 변천

원래 1921년 5월 조선총독부 직속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시험장으로 발족된 것이 그 시초이며, 8·15광복 이후 1945년에 일제로부터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시험장을 인수하여 1949년 4월 대통령령 제49호로 상공부장관 감독 아래에 들어갔다. 당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시험장은 서무과를 비롯하여 4개의 연구과를 두었다.

1963년 12월 농림부령 제96호에 의거 농림부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원으로 고쳤다. 1966년에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청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원이 되었고, 1996년 8월에 해양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부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원, 2002년 3월에 해양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부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 2008년 농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식품부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이 되었으며, 2013년 3월 해양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부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이 되었다.

내용

주요사업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해양환경조사:해양물리학 · 해양화학 · 해양생물학적인 연구, 어장환경 및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 오염조사, 적조현상 조사연구, 해양관계자료 정보수집. ② 어업자원조사:어업자원의 생물학적 연구 및 동태연구, 어장조사 및 어황예측. ③ 어구어법슬롯(漁具漁法分野):어구개량 · 어구자재개량 · 어법연구 · 어선개량연구. ④ 원양어장개발슬롯:새로운 어장개발, 해외어업 협력사업.

⑤ 증양식슬롯:주요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동식물의 증산연구, 품종개량연구, 종묘생산 기술개발 및 양산시험, 병리연구 등. ⑥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처리가공슬롯: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의 가공기술 및 제품개발연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 성분특성분석, 어획물포장,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 및 양식장 위생연구. ⑦ 담수어시험슬롯:내수면환경조사, 담수어양어기술개발. ⑧ 어촌기술지도 보급슬롯:어민소득증대를 위한 기술지도, 어민교육 및 후계자 사업지도, 기술홍보 및 정보전달 업무 등이다.

그 밖에도 원양어업의 해외어장진출 확대 및 연안국과의 기술협력과 우호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외국인연수생 초청훈련 및 각종 국제회의 등에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1980년대에 들어서는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양식어업의 기술개발 및 연안어업자원의 조성사업과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물식량화사업 등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 · 개발 업무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황

2002년 3월 명칭변경으로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이 된 이후, 본원은 2008년 농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식품부 소속이 되었다가 2013년 해양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부 소속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3년 08월 현재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의 조직은 원장 아래 운영지원과, 연구기획과, 연구협력과 등 3개 과가 있고, 기후환경연구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원연구부, 양식산업연구부 등 3개 연구부와 동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소, 서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소, 남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소, 중앙내수면연구소, 남동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소, 아열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소, 해조류연구소, 고래연구소 등 8개 연구소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문헌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원육십년사』(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원, 1981)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감』(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진흥회, 1985)
국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학원(www.nif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