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구요당 ()

목차
도교
제도
고려시대에 초제(醮祭)를 지내던 곳.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드래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초제(醮祭)를 지내던 곳.
내용

924년(태조 7)외제석원(外帝釋院)·신중원(神衆院)과 함께 개경 대궐 밖에 창건되었다. 당(堂)의 이름은 일·월 두 신(神)과 화·수·목·금·토의 오성을 합한 칠정(七政) 및 사요(四曜) 중에서 나후(羅喉)·계도(計都)의 두 성(星)을 합한 구요에서 온 것이다.

나후·계도에 자기(紫氣)·월패(月孛)를 합하여 사요라 하며 칠정과 사요를 아울러서 십일요(十一曜)라 하는데, 구요당의 당내에는 십일요의 상(像)이 봉안되어 있었다.

학자간에는 종래 이를 불교기관으로 본 사람도 많았으나 실은 5 드래곤 슬롯기관이며, 왕실의 양재초복(穰災招福)을 위하여 재초(齋醮)를 설행하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

강화도로 천도했던 1253년(고종 40)에는 권신 최항(崔沆)이 대궐의 서쪽에 세워놓았다. 고려 말까지 존속하다가 1392년 11월에 5 드래곤 슬롯기관 일제정리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고려5 드래곤 슬롯사상(高麗道敎思想)의 연구(硏究)」(양은용, 『원광대학교논문집』19,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드래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5 드래곤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5 드래곤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드래곤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