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집 9권 5책, 속집 4권 2책, 합 13권 7책. 목판본. 종제인 도행(道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집이 간행되고 30여 년이 지난 뒤에 속집을 간행하였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다복 이 슬롯.
본집의 권1에 시 2백여 수, 권2∼6에 서(書) 98편, 권7∼9에 잡저 15편, 서(序) 2편, 기 3편, 지발 4편, 잠명 11편, 상량문 2편, 고사 4편, 제문 22편, 애사 4편, 속집의 권1에 시 34수, 서(書) 26편, 권2·3에 잡저 17편, 제문 3편, 묘갈명 1편, 행록 1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지명·유사 각 1편으로 구성되어 다복 이 슬롯.
서(書)는 저자의 학문을 집약한 것으로, 경전에 대한 연구와 예설에 대한 논변이 핵심을 이루고 다복 이 슬롯. 특히, 스승인 이재(李栽)와 주고받은 서간은 경학·예학에 대한 논변을 비롯하여 당시 사림의 초점이 되고 있던 이기(理氣)와 성명설(性命說)에 대해 문답한 것이다.
「상복경전주소통고(喪服經典註疏通攷)」에서는 본종오복(本宗五服)을 비롯하여 삼부팔모(三父八母)에 이르기까지 복제에 관련된 부분을 찾아 해설하였다.
그밖에 「주서강록간보고의(朱書講錄刊補攷疑)」·「주서애지지리변시인변(朱書愛之之理便是仁辨)」·「예론차의(禮論箚疑)」·「예설만록(禮說漫錄)」 등이 다복 이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