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어가 만들어지는 방식은 크게 세가지로 나뉘는데, 섀도 어 슬롯 강화사, 체언 또는 체언의 곡용형, 용언의 활용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사는 항상 섀도 어 슬롯 강화어로만 쓰인다.
이 때는 섀도 어 슬롯 강화사가 불변화어(不變化語)이므로 어미나 조사가 연결되지 않은 채 그대로 섀도 어 슬롯 강화어가 된다(그 산이 더 아름답다. 철수는 새 책을 샀다. 그것은 무슨 까닭이냐? 등).
체언도 섀도 어 슬롯 강화어로 쓰일 수 있는데, 이 때는 속격(섀도 어 슬롯 강화격)조사 ‘-의’가 연결되는 것이 보통이다(충무공의 거북선은 우리의 자랑거리이다.). 체언이 다른 체언을 수식하는 관계는 속격조사 ‘-의’를 생략하고 두 체언을 나란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철수는 동생 책을 빼앗았다.).
그러나 ‘의’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절세의 미인→절세미인). 이러한 경우는 대체로 비유적 표현이거나 연결되기 어려운 것을 억지로 연결시킬 때인 것으로 보인다.
용언이 체언으로 전성할 경우(선생님의 가르침에 보답하자.) 그 앞에 섀도 어 슬롯 강화어가 오는 것은 체언형 앞에 쓰인 섀도 어 슬롯 강화어로 보아 별문제가 없지만, 용언이 완전히 전성하지 않고 서술어로 기능하고 있는데도, 그 주어가 섀도 어 슬롯 강화어처럼 나타나는 현상이 있어 문제된다 [우리는 그(의, 가) 우둔함을 한탄하였다.].
이는 이것이 본래 내포되기 전에는 문장의 주어였으나, 모문(母文) 속에 내포되어 녹아들면서 표면상 섀도 어 슬롯 강화어처럼 나타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용언이 섀도 어 슬롯 강화어로 쓰일 때는 항상 섀도 어 슬롯 강화형어미 ‘-ㄴ’, ‘-ㄹ’이 연결되어야 한다(부자인 아버지, 핀 꽃이 아름답다. 올 사람은 오너라. 아름다운 산). 이 섀도 어 슬롯 강화형 어미 ‘-ㄴ’, ‘-ㄹ’은 시상(時相) 선어말 어미 ‘-었-’, ‘-겠-’과 각각 대응이 된다.
이 밖의 섀도 어 슬롯 강화형 어미로는 ‘-는(일하는 사람)’과 ‘-던(먹던 밥)’을 더 들 수 있다. 이 ‘-는’과 ‘-던’을 다시 ‘-느-’, ‘-더-’와 ‘-ㄴ’으로 나누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일치되지 않는다.
‘-는’은 동사의 현재진행을 나타내며(형용사의 경우는 현재와 과거에 관계 없이 ‘-ㄴ’만을 취함.) 종결 어미 ‘-(느)ㄴ다’와 대응이 되고, ‘-던’은 형태상 회상의 선어말 어미 ‘-더-’와 대응이 되는듯하나 섀도 어 슬롯 강화형 어미 ‘-던’과 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그 기능이 서로 같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용언의 섀도 어 슬롯 강화어는 근본적으로 섀도 어 슬롯 강화절과 성격이 같다. 어떤 절이 내포되어 체언을 수식할 때 섀도 어 슬롯 강화절이 되는데, 이 때 내포된 섀도 어 슬롯 강화절의 성분 중 꾸밈을 받는 체언과 같은 것이 있으면 그 성분은 소거된다[내가 (책을) 읽은 책이 유익하다.].
섀도 어 슬롯 강화어는 바로 꾸밈받는 대상과 같은 성분 및 기타 성분이 소거되어 결과적으로 용언의 섀도 어 슬롯 강화형만 남은 것이라 할 수 있다(산이, 아름다운 산이 우리나라에 많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는 용언의 섀도 어 슬롯 강화형만이 쓰였을 때는 섀도 어 슬롯 강화어, 주어+서술어의 구조를 갖추었을 때는 섀도 어 슬롯 강화절이라고 하며, 주어 외의 기타 성분과 서술어가 쓰였을 때는 섀도 어 슬롯 강화어구로 보기도 한다.
이상의 섀도 어 슬롯 강화절은 모문과 내포문에 공통요소가 있어서, 내포문의 공통요소를 소거하면서, 모문의 공통요소를 꾸미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우리 나라가 민주국가인 점을 강조한다.’, ‘그가 가는 것이 좋다.’에 쓰이고 있는 섀도 어 슬롯 강화형 어미들은 특이한 존재이다. 여기서는 모문과 내포문 사이에 공통요소가 없다는 점과 ‘점’^‘것’ 등이 독립성이 없는 의존명사라는 점이 특이하다.
‘사실’^‘소문’ 등도 ‘우리는 그가 도망간 사실을 알았다.’, ‘그가 죽었다고 하는 소문이 퍼졌다.’처럼 쓰여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이들은 보문을 이룬 것으로, 내포된 문장이 뒤의 (의존)명사와 함께 체언처럼 사용되어 모문의 한 성분이 되고 있는 것이다. 앞의 섀도 어 슬롯 강화절을 관계섀도 어 슬롯 강화절(關係冠形節), 뒤의 것을 명사보문절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