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관상감 측우대 ( )

관상감 측우대
관상감 측우대
과학기술
물품
국가유산
조선 초기 광화방 관상감에 설치되었던 측우기를 놓았던 대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관상감 5 드래곤 슬롯대(觀象監 測雨臺)
분류
유물/과학기술/계측교역기술용구/도량형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5년 08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52 (송월동, 국립기상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드래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초기 광화방 관상감에 설치되었던 측우기를 놓았던 대석.
개설

1985년보물로 지정되었다. 관상감 5 드래곤 슬롯대는 5 드래곤 슬롯기를 세웠던 화강암 대석(臺石)으로서 원래 서울 매동초등학교 교정의 한 구석에 있던 것을 1972년 11월 8일 국립중앙기상대(현재의 기상청)로 옮긴 것이다. 이 5 드래곤 슬롯대는 세종대에 5 드래곤 슬롯기(測雨器)를 제작할 때에 함께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이후 북부 광화방관상감에서 5 드래곤 슬롯기를 설치하였던 대석일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관상감 5 드래곤 슬롯대는 높이 87.6㎝, 두께 59.7㎝, 너비 94.5㎝의 화강암 석대로서 위쪽 면의 가운데에는 직경 16.5㎝, 깊이 4.7㎝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전상운의 연구에 의해 5 드래곤 슬롯대로 고증된 유물이다.

이 5 드래곤 슬롯대는 애초 서울 매동초등학교의 교정 한 구석에 있었는데, 매동초등학교는 1934년까지 경복궁대루원(待漏院)금부직방(禁府直房) 터에 위치하였다. 이곳은 고종초에경복궁을 재건한 이후 북부 광화방(廣化坊)에 있던 관상감이 이전하여 자리하였던 곳이다. 이후 학교를 지금의 자리로 이전할 때에 교정에 있던 5 드래곤 슬롯대 유물도 함께 가져왔다고 전한다.

이를 통해 이 5 드래곤 슬롯기 대석이 원래 관상감이 북부 광화방 자리에 있을 때부터 5 드래곤 슬롯기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던 대석이었고, 고종대에 경복궁을 재건한 이후에 경복궁으로 옮겨 놓았음을 알 수 있다. 광화방 관상감 터는 조선 초기 관상감이 설치된 이후부터 줄곧 관상감이 자리잡았던 곳이다. 따라서 이 5 드래곤 슬롯대는 세종대 5 드래곤 슬롯기를 만든 이후부터 대석으로 사용한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5 드래곤 슬롯대이다. 5 드래곤 슬롯대 위에 있던 원래의 5 드래곤 슬롯기는 전란 등에 의해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관상감 5 드래곤 슬롯대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5 드래곤 슬롯대로서 세종대에 5 드래곤 슬롯기를 제작하였을 당시에 함께 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세종대에 세계 최초로 5 드래곤 슬롯기를 제작하고 우량을 측정하였음을 증명해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참고문헌

『우리의 과학문화재』(송상용 등, 5 드래곤 슬롯과학기술진흥재단, 1994)
「조선시대 5 드래곤 슬롯 관천대와 경주 첨성대의 입지조건 비교」(정연식, 『한국고대사연구』제60호, 2010)
「5 드래곤 슬롯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1908-1985」(전상운 등, 『5 드래곤 슬롯과학사학회지』제6권 1호,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5 드래곤 슬롯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