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백당집(虛白堂集)』 권14에 수록되어 있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은 칠언율시로서, 그 내용은 줄에 매달려 묘기를 보이는 현사괴뢰(縣絲傀儡)에 속하는 꼭두의 여러가지 모습을 시적으로 형상화시킨 것이다.
예컨대, 공중에 매달려 몸을 던지는 모습, 줄타기와 공놀리기 등의 공교로운 재주부림에 대해 칭송하면서, 우리 나라의 이 같은 괴뢰희가 중국의 것에 비해 손색이 없다고 한 것이다.
특히, 이 중에서 꼭두각시놀이의 기원으로 볼 마인 크래프트 슬롯는 한고조(漢高祖)의 고사인 ‘한조평성가해위(漢祖平城可解圍)’의 묘사는 조선 초기에 상당히 널리 이 이야기가 알려졌음을 반증하는 자료가 된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을 통해서 고려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에서 보여준 인형극이 일정한 고사형식을 띠고 있었는데, 조선 초기에 오면 이러한 형식이 많이 변용되어 유희로 흘러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인 크래프트 슬롯과 「관나시(觀儺詩)」는 이규보(李奎報)의 「관농환유작(觀弄幻有作)」을 계승하고 있으므로, 꼭두각시극의 전승과정을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그리고 악부(樂府)의 형식에서 보이는 ‘행(行)’이나 ‘영(詠)’을 선택하지 않고, 제목 앞에 ‘관(觀)’을 붙여, 연희의 현장감을 살리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은 후대에 출현하는 모든 연희시의 전범이 된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