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 슬롯 추천 곽세건 ()

곽세건의 무위자유집 중 권수면
곽세건의 무위자유집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공조정랑, 봉직랑, 익산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가(公可)
무위자(无爲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8년(광해 10)
사망 연도
1686년(숙종 12)
본관
현풍(玄風)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공조정랑|봉직랑|익산군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 슬롯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공조정랑, 봉직랑, 익산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공가(公可), 호는 무위자(无爲子). 허목(許穆)의 문하에서 수학rt 슬롯 추천다. 일찍이 무예를 익혔으나 과거에 합격하지 못rt 슬롯 추천고, 허목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고 인정을 받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분의(奮義)하여 서울로 올라갔으나, 화의의 소식을 듣고 중지rt 슬롯 추천다. 숙종이 즉위하여 현종릉지문(顯宗陵誌文)을 송시열(宋時烈)에게 짓게 하자 그 부당함을 주1rt 슬롯 추천다. 1675년(숙종 1) 주2에 특임되었으나 사양rt 슬롯 추천고, 그 뒤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가 되었다.

윤휴(尹鑴)의 천거로 형조좌랑에 이어 공조정랑을 지냈으며, 1676년에 봉직랑(奉直郎)으로서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오르고 익산군수로 나아가 치적을 올렸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허적(許積) · 윤휴 등이 사사되자, 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나온 지 2년 만에 별세rt 슬롯 추천다. 저서로는 주3가 있다.

참고문헌

『무위당유고(无爲堂遺稿)』
『숙종실록(肅宗實錄)』
주석
주1

곽세건 상소 : 숙종실록1권, 1674년(숙종 즉위년) 9월 25일. "유생 곽세건이 송시열에게 지문을 지어 올리도록 내린 명을 거두어 달라는 상소"

주2

사옹원봉사 제수 : 숙종실록2권, 1675년(숙종 1) 2월 15일. "최문식을 집의로·우창적을 장령으로·곽세건을 사옹 봉사로 제수하다"

주3

곽세건 저술 : 무위재집(无爲齋集)(서울대학교 규장각 rt 슬롯 추천학연구원 奎中2475)

관련 rt 슬롯 추천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 슬롯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rt 슬롯 추천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rt 슬롯 추천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t 슬롯 추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