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7m. 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평탄한 대지 위에 서남쪽을 향하고 있는데 와편(瓦片) 이외의 다른 유구(遺構)는 찾아 볼 수 없다. 현재 탑의 무료 슬롯부와 1,2층 탑신, 그리고 옥개석만이 남아 있는데 원래 3층석탑으로 추정된다.
구조는 무료 슬롯부에서 5매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4매의 무료 슬롯석으로 결구되고, 무료 슬롯은 2층으로 상대갑석(上臺甲石)이 매우 높고 1,2층무료 슬롯 갑석에는 탱주(撑柱 : 받침기둥)와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져 있다.
상대갑석 위에 옥신괴임이 있고 1층과 2층 옥신의 체감률은 급속히 떨어져 균형을 이루지 못하나 상당히 정제된 석탑으로 무료 슬롯부와 옥개석이 통일신라 석탑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어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1962년 석탑해체 수리시 사리공(舍利孔)이 발견되었으나 사리함(舍利函)은 도굴당하여 유리구슬 1개만 발견되었고, 무료 슬롯부에서 납석으로 만든 수연(水煙 : 불꽃모양의 장식)파편 ·3층석탑 · 사면석불 · 방형소탑(方形小塔)이 출토되어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탑들은 탑내의 사리장엄구들로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찾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