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리뷰 공조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각 관청소속 장인(匠人)들에게 주었던 종8품 잡직(雜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리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각 관청소속 장인(匠人)들에게 주었던 종8품 잡직(雜職).
내용

공조(工曹)에 1인, 교서관(校書館)·사섬시(司贍寺)·조지서(造紙署)에 합쳐 4인, 상의원(尙衣院)에 1인, 군기시(軍器寺)에 2인, 선공감(繕工監)에 4인을 두었다.

지장(紙匠)·옥장(玉匠)·은장(銀匠)·궁인(弓人)·시인(矢人)·주장(鑄匠)·석장(石匠)·목장(木匠)·야장(冶匠) 들을 전문기술에 따라 각 관서에 배정한 것이다. 이 직은 다른 슬롯 리뷰과 같이 체아직(遞兒職)으로서 1년에 네번씩, 즉 3개월씩 윤번제로 근무하게 되어 있었고, 또 근무기간에도 2조(조지서의 지장은 3조)로 나누어 번갈아 일하게 하였다.

이들은 근무일수 900일이 차면 잡직계로 1계급씩 진급하여, 종6품이 되어 퇴직하는데, 원근무일수로 계산하였다. 슬롯 리뷰 후기 군기시의 공조 1인을 감원하였다. 공조와 같은 잡직에서 정직(正職 : 문무관직)으로 나갈 때는 1계(階)를 낮추어 나가게 하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역주경국대전(譯註經國大典)』-주석편-(한우근 외, 슬롯 리뷰정신문화연구원, 1986)
「슬롯 리뷰초기(朝鮮初期) 경공장(京工匠)의 관직(官職)-잡직(雜職)의 수직(受職)을 중심(中心)으로-」(유승원,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1983)
「슬롯 리뷰초기(朝鮮初期) 경공장(京工匠)의 관직(官職)-잡직(雜職)의 수직(受職)을 중심(中心)으로-」(유승원,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1983)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리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리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리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리뷰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