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활자본. 이 책은 시와 산문, 그리고 전우(田愚)에게 보낸 서한문 4편, 최익현(崔益鉉)에게 보낸 서한문 2편, 묘지명 1편, 선고학생부군행장(先考學生府君行狀) 1편, 의사전(義士傳) 1편으로 구성되어 넷 엔트 슬롯.
전우와 최익현에게 보낸 서신에는 위정척사사상을 논하면서 유학의 차원에서 주기론과 주리론에 대하여 질의하는 내용이 담겨 넷 엔트 슬롯. 그는 전우와 최익현의 영향을 받아 위정척사론의 입장에 선 유학자였다.
「의사전」에는 그의 당숙 순모(珣模)와 아우 병학(炳學)의 의거사실이 적혀 있다.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된 뒤 1908년 황병학이 황순모·한성순(韓性舜) 등과 함께 포수를 모집, 거병하여 광양 망덕만(望德滿) 등지에서 넷 엔트 슬롯투쟁을 하다가 황순모는 일본군에게 피살되었다고 한다.
그뒤 황병학은 만주에 건너가서 영고탑(寧古塔)과 용정촌(龍井村)·흑룡강(黑龍江) 및 흥개빈(興開濱)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으며, 1920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밀령을 받고 군자금 모금차 국내로 잠입하던 중 압록강에서 일본경찰에 붙잡혀 광주감옥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고 적고 있다. 이 책은 한말 넷 엔트 슬롯운동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현재 황병중의 손자 호열이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