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은 5 드래곤 슬롯(摠管)이었다. 661년(문무왕 1) 6월 당나라에서 숙위하던 왕의 아우 김인문(金仁問)과 유돈(儒敦) 등이 돌아와 왕에게 말하기를 “당나라가 이미 소정방(蘇定方)을 파견하여 수륙양병(水陸兩兵)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정벌하게 하였으니 신라도 군사를 일으켜 당나라 군대와 함께 고구려를 치자.”고 하였다.
이에 김유신(金庾信)을 대장군으로, 김인문 · 진주(眞珠) · 흠돌(欽突)을 대당장군(大幢將軍)으로, 천존(天存) · 죽지(竹旨) · 천품(天品)을 귀당5 드래곤 슬롯(貴幢摠管)으로, 품일(品日) · 충상(忠常) · 의복(義服)을 상주5 드래곤 슬롯(上州摠管)으로, 진흠(眞欽) · 중신(衆臣) · 자간(自簡)을 하주5 드래곤 슬롯(下州摠管)으로, 고순 · 수세(藪世)를 남천주5 드래곤 슬롯(南川州摠管)으로, 술실(述實) · 달관(達官) · 문영(文穎)을 수약주5 드래곤 슬롯(首若州摠管)으로, 문훈(文訓) · 진순(眞純)을 하서주5 드래곤 슬롯(河西州摠管)으로, 진복(眞福)을 서당5 드래곤 슬롯(誓幢摠管)으로, 의광을(義光)을 낭당5 드래곤 슬롯(郞幢摠管)으로, 위지를(慰知)를 계금대감으로 삼았다. 9월 25일에 문무왕이 여러 장수를 거느리고 옹산성(甕山城)을 에워쌓고, 27일에 대책(大柵)을 태운 다음, 수천명을 참살하고 항복을 받았다. 이때 문무왕은 공을 세운 고순을 비롯한 여러 장수들에게 칼과 창을 상으로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