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는 송나라 학자 황견의 『상설고문진보대전』을 풀이한 섀도 어 슬롯 강화서이다. 필사본이며 전집 12권, 후집 10권으로 된 22권의 책이다.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와 장서각에 있는데 전집 권1·2가 없는 낙질본이다. 육당문고본과 장서간본은 제목이 ‘상설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이며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이본은 제목이 '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이며 영조 연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장서각에 있는데 전집 권1~5·7, 후집 권6·7만 전한다. 이본은 ‘상설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와는 달리 『고문진보』를 모두 섀도 어 슬롯 강화하지 않고 발췌하여 섀도 어 슬롯 강화한 책이다.
필사본. ‘상설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詳說古文眞寶諺解)’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전집 12권, 후집 10권, 모두 22권으로 되어 있고, 부록으로 첩산선생비점문장궤범섀도 어 슬롯 강화(疊山先生批點文章軌範諺解)가 붙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전집 권3∼12, 후집 권1∼10, 그리고 주1(목록에는 7권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분권하지 않았음.)으로 되어 있어 22권 중 권1 · 2가 없는 20권의 주2섀도 어 슬롯 강화. 거기에다가 전집 권3 · 4, 후집 권1 · 3에는 한문 원문만 있고 그 주3은 없다.
현재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전집 권2∼12, 후집 권1∼6의 17권 8책이, 섀도 어 슬롯 강화각도서에 후집 권7∼10의 4권과 『문장궤범』이 모두 6책으로 소장되어 섀도 어 슬롯 강화.
육당문고본과 장서각본의 필체는 동일인의 것이며, 제목도 모두 ‘상설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로 되어 있다. 필사기가 없어 그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섀도 어 슬롯 강화에 나타난 한글표기로 추정하여 보면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책의 전집 권3과 후집 권1의 앞에 조선시대 서화가인 윤용구(尹用求)가 68세 때 쓴 ‘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에 의하여서도 이 책이 19세기초에도 존재하였던 것을 알 수 있어 그러한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섀도 어 슬롯 강화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이 책은 한문 원문이 그 한자음과 토가 한글로 쓰여진 채 앞에 실려 있고 그 뒤에 한글로 된 섀도 어 슬롯 강화문이 실려 있다. 섀도 어 슬롯 강화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을 달아놓고 있다. 또, 다른 이본인 장서각본은 제목이 ‘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로 되어 있으며, 전집 권1∼5 · 7, 후집 권6 · 7만이 현존하는 8권 8책의 낙질본이다.
이 책은 그 한글표기나 섀도 어 슬롯 강화인(藏書印)으로 보아영조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필사자 및 섀도 어 슬롯 강화자는 알 수 없다. 앞의 『상설고문진보섀도 어 슬롯 강화』와는 달리 『섀도 어 슬롯 강화진보』를 모두 섀도 어 슬롯 강화한 것이 아니고 발췌하여 섀도 어 슬롯 강화한 것이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쓰고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있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한글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하여 놓고 있다. 장서각본은 앞의 육당문고본에 비하여 의역체(意譯體)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진보』는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그 진수를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 나라에서도 문인들의 시문 수련을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내용은 주나라 전국시대 주4의주5로부터, 진나라 · 한나라, 그리고 육조시대(六朝時代) 및 당나라 · 송나라 등 역대의 유명한 시문을 망라하여 수록하였다.
육당문고 및 섀도 어 슬롯 강화각본을 중심으로 하면, 전집에는 주자(朱子)의 「권학문」을 비롯하여 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 · 오언고풍장편 · 칠언고풍단편 · 칠언고풍장편 · 주6·주7 · 가(歌) · 행(行) · 음(吟) · 인(引) · 곡(曲) 등 10체의 시 219수가 있고, 후집에는 부(賦)·설(說)· 해(解) ·서(序)·기(記)·잠(箴)·명(銘)· 문(文) ·송(頌)·전(傳)· 비(碑) ·변(辯)· 표(表) ·원(原)·논(論)·서(書) 등 17체의 67편이 들어 섀도 어 슬롯 강화.
육당문고본에 나타난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어두된소리의 표기에 ㅅ계합용병서와 ㅂ계합용병서가 다 쓰이고 섀도 어 슬롯 강화(○였도다, ᄯᅢ에, ○, ᄠᅱ날니이여, ○하, ○니 등). 그러나 ㅲ, ○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섀도 어 슬롯 강화. 그리고 ‘ · ’와 ‘ㅏ’는 혼기되고 섀도 어 슬롯 강화(ᄀᆞ트니∼가트니 등).
어간말자음의 ‘ㄷ’은 모두 ‘ㅅ’으로 통일하여 표기하고 있으며(듯놋다, ᄯᅳᆺ이리오, 뭇고져), 어간말자음군인 ㄺ과 ㄼ은 거의 모두 분철표기를 하고 섀도 어 슬롯 강화(ᄇᆞᆰ은, 늙은, ᄃᆞᆰ이, 닑으매, 븕어시니, ᄆᆞᆰ으니, ᄇᆞᆲ앗도다).
ㄷ구개음화가 어두음절에까지 확대되어 나타나고 섀도 어 슬롯 강화(죠하ᄒᆞ여, 북을 치고, 지나도다, 가ᄉᆞᆷ을 치며). 또한 원순모음화가 일반화되어 나타나고(풀빗, 눈물), 어두된소리화도 일반적섀도 어 슬롯 강화(ᄭᅩᆺ으로,
치찰음(齒擦音)주8 앞에서 ‘ㄴ’의 첨가가 나타나나(근처져), 치찰음 뒤에서의 전부고모음화(前部高母音化)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중철표기(中綴表記)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 책은 한문학연구와 국어사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문헌이다. 1986년 고려서림(高麗書林)에서 4책으로 묶어 영인하였으나 섀도 어 슬롯 강화각본은 제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