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철(姜晉哲)이 지은 1980년 위쳐 3 슬롯 모드대학교 출판부에서 간행되었다.
모두 8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 통일신라기의 토지위쳐 3 슬롯 모드로서 장적문서에 보이는 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 등의 각종 토지와, 녹읍(祿邑)·식읍(食邑) 및 전장(田莊)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고려 건국 당시 이들 토지가 호족들에 의해 지배되어 가는 상황과 함께, 고려에서는 처음으로 시행되는 토지분급제인 940년(태조 23)의 역분전위쳐 3 슬롯 모드(役分田制度)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기를 거쳐 고려 전기 토지위쳐 3 슬롯 모드의 근간이 되는 전시과가 976년(경종 1)에 처음 정해지나(시정전시과), 그 뒤 998년(목종 1)에 개정되고(개정전시과), 1076년(문종 30)에 이르러 다시 고쳐진다(갱정전시과). 이처럼 몇 번에 걸쳐 개정되는 각 시기 전시과의 내용과 성격·의의 등과 함께 또 따로 설정되는 별정전시과(別定田柴科)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제3장이다.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이 체제 아래에서 분급, 지배되는 각종 토지를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으로 나누고, 소유권과 수조권 이론에 근거한 그의 개념과 더불어 지목 하나하나를 다루고 위쳐 3 슬롯 모드.
여기에서 양반전과 공음위쳐 3 슬롯 모드 및 한인전·구분전·향리전·군인전·궁원전·사원전 등은 사전으로, 민전과 내장전·공해전·둔전·학전·적전은 공전으로 분류했다.
제6장은 조세·공부(貢賦)·요역 등 농민이 졌던 부담에 관한 설명이다. 제7장은 전시과 체제가 그 체제가 가지고 있는 모순과 사회 생산력이 발전함으로써 무너지는 과정과, 이후의 농장제로 이행위쳐 3 슬롯 모드 과정을 살폈다.
끝으로 제8장에서는 전시과 체제와 관련된 제문제로서, 종래 모든 토지는 국유, 즉 공유였다는 토지국유 제설에 관한 비판과 균전제(均田制) 시행론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결제(田結制) 문제에 이어서 공전·사전의 구분에 따른 차율수조(差率收租) 문제를 지대(地代)·지세론(地稅論)과 관련지어 다루고 위쳐 3 슬롯 모드.
맨 뒤에는 결론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토지 지배 관계와 수취 양식의 측면에서 전시과 농민이 가지는 성격과 그에 근거를 둔 시대 구분의 측면까지 밝히고 위쳐 3 슬롯 모드.
이 책은 우선 그 체재가 고려시대의 토지위쳐 3 슬롯 모드를 체계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해, 개설서적 성격을 띠면서도 양식이나 풍부한 사료, 견실한 논지 등은 장·절 하나하나가 개별 논문이라 해도 손색이 없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책이 지니는 가장 큰 의의는,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나온 최초의 고려시대 토지위쳐 3 슬롯 모드에 관한 체계적·종합적 학술서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 사학사에서도 일정한 의미를 지니는 저술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