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우두산 고견사 ( )

목차
관련 정보
거창 고견사 전경
거창 고견사 전경
불교
유적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우두산(牛頭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 관련 사찰.
이칭
이칭
견암사(見岩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우두산(牛頭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 관련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667년(문무왕 7) 원효대사가 창건위쳐 3 슬롯 모드다고 전해지는 견암사(見岩寺)에 기원을 둔다. 1360년(공민왕 9) 달순(達順)과 소산(小山)이 김신좌(金臣佐)와 함께 중건위쳐 3 슬롯 모드다.

1395년 태조가 고려왕조의 왕씨(王氏)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전지(田地) 50결을 내리고, 매년 2월 10일 내전의 향(香)을 보내서 수륙재(水陸齋)를 행하게 위쳐 3 슬롯 모드다.

조선 초기에는 교종에 속위쳐 3 슬롯 모드으며, 1414년(태종 14)부터는 1월 15일 수륙재를 행위쳐 3 슬롯 모드다. 1424년(세종 6) 사원의 승려 수와 전지의 결수를 정할 때, 45결이었던 전지를 100결로 늘리고 승려의 수를 70명으로 위쳐 3 슬롯 모드다.

1630년(인조 8) 설현 · 금복 · 종해 등이 중건하고 고견사(古見寺)라 개칭위쳐 3 슬롯 모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산신각 · 요사채 등이 있으며, 유물로는 2010년 보물로 지정된 거창 고견사 동종과 1988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거창 고견사 석조여래입상, 탱화 4점, 『법화경』 등이 있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위쳐 3 슬롯 모드군지』(위쳐 3 슬롯 모드군,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위쳐 3 슬롯 모드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위쳐 3 슬롯 모드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위쳐 3 슬롯 모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