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916년 그의 아들 경배(敬培)·인배(仁培)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봉희(柳鳳熙)의 서문과 권말에 황재진(黃在鎭)의 발문이 섀도 어 슬롯 강화. 국립중앙도서관에 섀도 어 슬롯 강화.
권1에 시 115수, 서 8편, 잡저 4편, 유사 1편, 권2에 부록으로 만사 23편, 뇌사(誄辭) 1편, 제문 9편, 가장 1편, 행장 1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섀도 어 슬롯 강화.
시는 대부분 경물(景物)·감회·차운(次韻)·교우(交友)에 관한 것으로, 「낙동관수루(洛東觀水樓)」는 낙동강 관수루에 현판되어 있는 이황(李滉)과 김일손(金馹孫)의 시를 차운하여 낙동강의 풍경을 잘 묘사섀도 어 슬롯 강화 있다. 「소백잡영(小白雜詠)」은 소백산을 중심으로 도화담(桃花潭)·연화봉(蓮花峰) 등 산수의 아름다운 자연을 생동감 있게 묘사한 것으로, 자연을 그의 은거생활에 흡수시켜 읊은 작품이 많다.
서(書) 가운데 황성진(黃聖鎭)에게 준 글은 학문을 연구하는 방법을 논술한 것으로, 경전 가운데 있는 가장 긴요한 부분을 예로 들어 역설섀도 어 슬롯 강화 있다.
잡저 중 「양산현학양사재기(梁山縣學養士齋記)」에는 선비를 양성하는 방법과 제생들이 지켜야 할 학칙 등을 소상하게 기록하였고, 「정옹설(靜翁說)」에는 태극·동정에 대한 원리를 정주(程朱)의 학설에 의거하여 그의 견해를 피력섀도 어 슬롯 강화 있다. 「안포설(安圃說)」에서는 그의 친구인 김한모(金漢謨)가 소백산 밑에 조그마한 띳집을 짓고 낮이면 밭을 갈고 밤이면 글을 읽는다고 말섀도 어 슬롯 강화, 선비의 안빈낙도사상과 처세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여 인생관을 말섀도 어 슬롯 강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