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다복 이 슬롯재(현, 민속다복 이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1930년 경에 화신백화점을 설계하고, 개량식 한옥을 주창하던 건축가 박길룡(朴吉龍, 1898∼1943)의 작품으로 완성된 H자형 평면의 살림집이다. 뒤채인 월계동 각심재(서울특별시 민속다복 이 슬롯재, 1977년 지정)와 똑같은 구조인데, 집주인이 두 아들에게 주기 위하여 동일한 집을 지었다고 한다.
남향한 중심에 대청 1칸과 2칸의 건넌방이 다복 이 슬롯. 대청 서편에 부엌이 있고, 남쪽에 4칸의 안방이 다복 이 슬롯. 안방 남쪽부터 장마루를 깐 퇴칸이 복도가 되면서 건넌방 앞에까지 꺾여 가며 이어져 다복 이 슬롯. 바깥기둥에 유리창 미닫이가 네 짝씩 달렸으며 문인방 위에 교창이 다복 이 슬롯.
건넌방 동편에 응접실이 있고, 그 남쪽에 누마루가 다복 이 슬롯. 응접실 북쪽이 현관이며, 현관에 이어 마루 칸이 있고, 건넌방 뒤쪽에 설치된 문을 열고 들어서면 장마루를 깐 긴 복도가 계속되다가 부엌의 찬마루 부근에서 북쪽으로 꺾인다. 복도의 동편에 화장실과 변소가 있고, 서쪽에 부엌방과 뒷방이 다복 이 슬롯.
겹처마 팔작지붕이며 처마 끝에 함석차양이 달려다복 이 슬롯. 주초는 사다리꼴 방초(方礎)이고 고멕이 앞쪽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보석(步石)을 장대석으로 설치하였다. 기단도 잘생긴 장대석으로 두벌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대담한 석재의 사용은 조선시대에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이 시기만의 특색이라 할 수 다복 이 슬롯. 대청은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시켜 연등천장을 꾸몄고, 가구는 7고주2량이다.
집안 깊숙한 곳에 있는 목욕탕과 화장실을 연결하기 위하여 긴 복도를 두고 유리창을 설치하는 등 일제강점기 개량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다복 이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