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다재 슬롯 경열 ()

불교
인물
조선시대 때, 태능으로부터 선법을 계승한 승려.
이칭
해운(海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0년(선조 13)
사망 연도
1646년(인조 24)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다재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 태능으로부터 선법을 계승한 승려.
개설

선승(禪僧). 호는 해운(海運). 다복 다재 슬롯은 법명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생애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1607년(선조 40) 청련 원철(靑蓮圓徹)이 해남 대둔사(大芚寺)에서 대회(大會)를 열었을 때 소요 다복 다재 슬롯(逍遙太能)이 참석하였는데, 이때 그의 나이 28세로 다복 다재 슬롯으로부터 선법(禪法)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경열은 다복 다재 슬롯의 법맥을 이었고 호를 해운(海運)이라 하였다. 해운은 붕(鵬)새가 남쪽 바다로 옮겨간다는 의미이며, 이는 유유히 소요(逍遙)한다는 뜻으로 소요-해운의 전법 관계를 상징한다. 그리고 다복 다재 슬롯은 경열의 가슴 속에 있는 법해(法海)가 넓고 깊어서 예측하기 어렵고 글 속의 현묘한 뜻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평을 하였다.

다복 다재 슬롯의 『소요당집(消遙堂集)』에는 제자 경열에 대해 읊은 시와 게송이 수록되어 있다. 수많은 제자들 가운데 전법제자는 취여 삼우(醉如三愚)이다.

참고문헌

『동사열전(東史列傳)』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李朝佛敎』(高橋亨, 寶文館, 192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다재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다재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다재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다재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