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슬롯사이트 경세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경재유고』, 『경연강독록』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심중(心仲)
경재(敬齋), 두문농은(斗文農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91년(성종 22)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주(淸州)
주요 저서
경재유고(敬齋遺稿)|경연강독록(經筵講讀錄)
주요 관직
홍문관 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신규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경재유고』, 『경연강독록』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심중(心仲), 호는 경재(敬齋). 경지(慶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유근(慶由謹)이고, 아버지는 군수 경상(慶祥)이며, 어머니는 이질(李垤)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조광조(趙光祖) · 김식(金湜)과 막역하였으며,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1519년(중종 14) 주2에 합격신규 슬롯사이트, 이어 같은 해 주3에 삼등으로 급제신규 슬롯사이트 홍문관에 들어갔다. 이어 정자 · 저작을 역임신규 슬롯사이트, 박사가 되어 경연에서 임금의 마음을 바로잡기에 힘썼다. 같은 해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된 뒤 세상 사람들과 접촉하지 않고 책을 읽고 읊으며 지냈다.

1535년에는 형 경세신(慶世新)과 노비를 가지고 다투다 경세신이 자결하자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귀양을 갔다. 이 사건에 관해 『중종실록』에는 경세인이 형을 정신병자로 모함신규 슬롯사이트 사건의 정상을 은폐하려 한 악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기묘록보유』에서는 경세인의 형에게 실제 정신병이 있었으며 그는 모함으로 인해 귀양을 갔다고 서술신규 슬롯사이트 있다. 1538년 석방되어 파주의 두문리에 농막을 짓고 살면서 ‘두문농은(斗文農隱)’이라 이름신규 슬롯사이트 평생을 마쳤다.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 · 『경연강독록(經筵講讀錄)』이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주석
주1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六(규장각신규 슬롯사이트학연구원[奎106])

주2

진사 급제 : 『가정[정덕]기묘식사마방목(嘉靖[正德]己卯式司馬榜目)』

주3

현랑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六(규장각신규 슬롯사이트학연구원[奎10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신규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신규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신규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