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딥 슬롯 트위터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의 단층 팔작기와지붕 딥 슬롯 트위터이다. 근딥 슬롯 트위터(勤政殿) 뒤 사정문(思政門) 안에 자리잡고 있는 딥 슬롯 트위터로, 왕이 평상시에 거처하면서 정사를 보살피던 전당이다. 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세종 때에는 이미 편전으로 이용되었다.
조선 초기의 딥 슬롯 트위터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현재의 딥 슬롯 트위터은 1867년(고종 4)에 중건된 것이다. 천하의 이치는 생각하면 이를 얻을 수 있고 생각하지 않으면 이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왕으로 하여금 깊이 생각할 것을 주2한다는 뜻으로 ‘사딥 슬롯 트위터(思政殿)’이라 하였다.
1435년(세종 17)에 세종은 이곳에 거처하면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짓게 하고 이를 이름하여 『사딥 슬롯 트위터훈의(思政殿訓義)』라 명하였다. 세조 때에는 사정전 앞 낭무(廊廡 : 정전 아래로 동서에 붙이어 지은 딥 슬롯 트위터)에 큰 종을 달고 군정(軍政)을 보살필 때면 엄히 다스린다는 주3으로 이 종을 쳤다.
동쪽에 만춘전(萬春殿), 서쪽에 천추전(千秋殿)이 있어 세 딥 슬롯 트위터이 편전 일곽을 형성하고 있다. 한 벌의 디딤돌 위에 세 개의 계단이 마련된 장대석 축대를 쌓고 둥근 초석을 놓았다.
사면 둥근 기둥 사이에는 흙벽을 치지 않고 사분(四分)의 광창(光窓)과 문틀〔門扉〕만으로 짜여졌고, 그 위에는 빗살무늬의 주4이 있어 집 속을 밝게 하였다. 기둥 윗몸에는 창방과주5을 짜돌리고 내외이출목(內外二出目)의 공포를 놓았다.
내부는주6위를우물천장으로 가렸고,처마는 겹처마이며 각 등성 마루는 양성을 하고 취두(鷲頭 : 매머리모양의 장식) · 주7·잡상(雜像)을 각각 배열하였다.
양식상으로는 별다른 특징이 없으나, 창덕궁이나 창경궁의 편전이 모두 정전의 측면에 있는 것과 달리 이 건물은 정전의 정북방에 위치하고 있어, 딥 슬롯 트위터이 조선조의 정궁(正宮)으로서 질서정연한 배치원칙을 따르고 있음을 이 건물의 위치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 딥 슬롯 트위터은 국왕이 정무를 수행하던 편전으로, 정전인 근정전과 더불어 치조의 중요한 공간이었다. 1867년(고종 4) 중건한 이후에 그 외관이 고스란히 남아 있고 공포짜임을 비롯한 구조 양식 전반과 기능 충족을 위한 공간 구성 등의 면모를 비교적 잘 간직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건축적으로 그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