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귀를 굴려 접은 장방형의 단면으로 비교적 큰 단면을 가지고 있다. 던파 온 슬롯의 크기는 기둥의 간격과 비례하는데, 폭에 비하여 운두를 높게 한다. 주심포 계통의 집이나 누마루가 있는 집, 또는 규모가 작은 집 등에서는 장여형의 던파 온 슬롯을 쓰기도 한다.
장여형일 때에는 귀를 접지 않는다. 다포집에서는 던파 온 슬롯 위에 평방을 포개어놓아서 평방과 함께 그 위의 하중을 받아 기둥에 전달하지만, 주심포 계통의 집이나 익공계·소로수장집에서는 화반 또는 소로 등에 의하여 하중을 전달받고 이를 다시 기둥으로 보낸다. 한 건물에서 던파 온 슬롯의 크기는 거의 일정하게 한다.
그러나 성의 문루에서와 같이 중앙칸이 월등하게 넓을 경우에는 던파 온 슬롯의 크기에도 변화를 준다. 즉, 중앙칸을 크게 하고 좌우의 협간은 그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던파 온 슬롯이 기둥에 닿는 부분은 던파 온 슬롯의 옆면을 약간 후려서 기둥선을 살려주도록 하였고, 귀기둥에서는 기둥 밖으로 내밀게 한다.
맞배집에서는 박공처마 길이에 따라 다르나 대략 두 자 이내로 한다. 던파 온 슬롯을 뺄목 형식으로 내밀 때, 평방이 있을 경우에는 보아지 형태로 폭을 좁게 하면서 초새김을 하기도 한다. 귀기둥에 연결되는 던파 온 슬롯의 뺄목이 바로 익공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팔작이나 우진각 등 추녀가 있는 집에 주로 해당되며, 이 때는 익공의 운두에 맞는 큰 부재를 써서 한꺼번에 다듬어야 한다.
특수한 쓰임으로, 멍에던파 온 슬롯·별던파 온 슬롯이 있다. 멍에던파 온 슬롯은 중층 이상의 건물에서 상층기둥의 아래쪽을 연결해주면서, 하층지붕 서까래의 뒤뿌리가 걸린다. 별던파 온 슬롯은 뜬던파 온 슬롯이라고도 하는데, 종도리 또는 중도리 밑에서 대공과 대공을 연결해주는 구실을 한다. 이 때 별던파 온 슬롯의 위에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뜬장여 또는 종심장여가 있게 되며 그 사이에 소로를 끼우거나, 간격이 넓으면 화반을 끼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