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미션 슬롯 겸사복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정예 기병 중심의 친위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커미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정예 기병 중심의 친위병.
내용

고려시대의 상승승지(尙乘承旨)에 기원을 둔 내사복시 제도(內司僕寺制度)에서 비롯되어 1409년(태종 9)에 처음 창설되었다.

그 뒤 1464년(세조 10)에 정비된 조직을 갖추었으며, 주로 국왕의 신변 보호와 왕궁 호위 및 친병 양성 등의 임무를 맡았던 금위(禁衛)의 군사였다.

커미션 슬롯에는 사회적인 신분보다 무재(武才)가 더 중시되었다. 따라서 양반으로부터 서얼·양민·천인, 심지어 향화인(向化人)·왜인(倭人)들까지 포함되어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친위병이었던 관계로 용모·학식·신장·시수(矢數) 등이 중요한 자격 요건이었다.

임용은 원칙적으로 <내금위시취례 內禁衛試取例>로써 커미션 슬롯. 그러나 특수성 때문에 북계인(北界人)을 우대하는 임용 규칙을 제정해 임용하거나, 국왕의 신임으로 수시로 임용하는 등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정원이 50인으로 장번복무(長番服務)를 했는데 전원에게 정3품∼종9품의 체아직(遞兒職)을 주었다. 만기 복무 연한은 대체로 7년이었으나, 향화인 및 북계인들은 2년 혹은 2년 반에 교대로 복무하는 것을 원칙으로 커미션 슬롯.

고과(考課)는 매년 정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겸사복장(兼司僕將)과 병조가 동의하여 실시해서 관직을 올리고 내리는 출척(黜陟)을 정커미션 슬롯. 근무일수인 사(仕)가 180일이 차면 품계를 올려 정3품에까지 이르도록 커미션 슬롯.

직무 이외에도 매년 정기·부정기적인 교열(校閱)과 연재(鍊才)에 합격해야만 자리를 유지할 수 있어 고역에 허덕이기도 커미션 슬롯.

그러나 대가로 녹봉·직전(職田)·급보(給保) 및 복호(復戶)의 혜택을 주고, 또 직을 떠난 뒤에는 다른 직으로 영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왕권 강화에도 한몫을 했기 때문에 더욱 강화시킬 목적으로 역대 국왕들은 여러 가지 시책을 펴기도 커미션 슬롯.

참고문헌

『세종실록』
『세조실록』
『경국대전』
「조선초기 오위의 병종」(천관우, 『사학연구』 18, 1964)
「근세조선전기군사제도의 성립」(민현구, 『커미션 슬롯군제사』-조선전기편-, 커미션 슬롯군사연구실, 1968)
「조선초기의 겸사복에 대하여」(남도영, 『금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커미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커미션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커미션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