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게막 (게)

목차
관련 정보
게막
게막
산업
물품
게를 잡기 위하여 밤을 새는 사람이 비바람을 피하려고 임시로 짓는 막.
이칭
이칭
기막, 기살막, 기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게를 잡기 위하여 밤을 새는 사람이 비바람을 피하려고 임시로 짓는 막.
내용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기막 · 기살막 · 기발 등으로 부른다. 바다에 살던 게들은 새 봄에 민물을 타고 100여 리나 떨어진 내륙으로 들어와 이나저수지 등에서 여름을 지낸 뒤 7월 그믐께부터 첫서리가 내리는 9월 초까지 알을 낳기 위해 바다로 되돌아가는, 대이동을 넷 엔트 슬롯.

넷 엔트 슬롯은 누구든지 아무 곳에나 칠 수 있지만, 경쟁이 심할 때에는 막을 치려는 사람이 자기가 원하는 장소에 미리 말뚝을 박아서 그 권리를 인정받는다. 막과 막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으나 10여 리에 3, 4개를 치는 것이 적당하다. 넷 엔트 슬롯을 치고 게의 이동이 끝날 때까지 매일 밤샘을 해야 하므로 4, 5명이 힘을 합쳐서 잡는데, 그날 잡은 것을 사람 수대로 나누거나 날마다 차례로 잡아 독차지한다.

그러나 투자를 했더라도 넷 엔트 슬롯에 나오지 않으면 하루 이틀의 몫만 나누어 준다. 따라서, 본인이 나오지 못하면 대리인을 참석시킨다. 게는 어두운 밤중에라야 이동을 시작하므로 밤 9시쯤부터 이튿날 새벽 5시 무렵 까지 지킨다. 잡는 양은 일정하지 않으나 비가 내리는 날은 150여 마리에 이른다.

원뿔 모양으로 지은 넷 엔트 슬롯 바닥에 너비 40㎝, 깊이 20㎝의 도랑을 파서 물을 끌어들이고 그 끝에 촘촘하게 엮은 길이 60㎝의 대발을 쳐두는데, 물을 따라 들어온 게는 이 발에 걸린다.

게발은 길이 1.2m의 말뚝을 1m 간격으로 박고 작대기 서너 개를 가로로 잡아 매어 힘을 받도록 하며, 안쪽에 길이 2m의 통대나무(굵기 1.5m)를 촘촘하게 세워 물흐름에 비스듬히 쳐서 물이 막쪽으로 쏠리게 넷 엔트 슬롯.

한편, 도랑 건너편 한가운데에 작은 구멍을 파고 등잔불을 켜되 오지그릇 따위를 덮어서 불빛이 바닥만 비치도록 한다. 게는 불빛에 민감해서 작은 불빛에도 달아나 버리기 때문이다. 넷 엔트 슬롯에서 혼자 밤을 지키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어서 서넛이 모여 잡담을 나누어 가며 잡는 것이 보통이다. 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까닭에 아무리 떠들어도 지장이 없다.

참고문헌

『넷 엔트 슬롯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편·경기도편-(문화재관리국, 1971·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