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1책. 목활자본.
내용의 순서는 서(序)·피망 슬롯 apk학(帝王學)·강관·강의·강규(講規)·대명경연의(大明經筵儀)·경연반차도(經筵班次圖) 및 발문으로 되어 있다.
저자는 서에서 “제왕이 호학(好學)한 연후에 강관은 그 사람을 얻을 피망 슬롯 apk고, 강관이 그 사람을 얻은 연후에 의절(儀節)이 그 마땅함을 준수할 피망 슬롯 apk고, 그 마땅한 의절을 준수하게 된 연후에 규계(規誡)가 거의 이지러짐이 없게 될 것이다.”라 하여, 제왕의 호학과 강관의 득인(得人)과 의절의 준수와 규계의 무궐(無闕)은 강관론의 네 요체임을 밝히고 있다.
이는 저자의 정치론으로서 유교의 윤리적 군자학이 여기서 정치적 제왕학으로 승화되었음을 볼 피망 슬롯 apk다. 그는 여기서 조선 후기의 정치현상을 비판하면서 왕권의 절대적 권위나 계급적 예속관념의 탈피를 시도한다.
그의 정치이념의 근본은 통민(統民)에 있고 통민을 위하여는 기(氣)의 운화(運化)가 순조롭게 소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그는 옛 성현의 도를 규범삼아 나아갈 것을 권장한다.
또한, 강관이 아무리 유능하더라도 인주(人主)로서의 제왕이 성실하게 실천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통치의 증험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 저자의 민본주의적 실증주의의 기풍을 엿볼 피망 슬롯 apk다. 그러나 저자는 아직 왕권중심의 제왕학적 통치이념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