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사이트 감합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각 관서에서 발부한 공문서에 계인(契印)을 찍던 제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각 관서에서 발부한 공문서에 계인(契印)을 찍던 제도.
내용

공문서의 진위(眞僞)를 추후에 확인할 슬롯 사이트도록 원부(元簿)와 발송문서 혹은 시행문서인 이문(移文)에 비표를 하고 계인(契印)을 찍었다.

‘감(勘)’은 ‘고증한다’는 뜻이며, ‘합(合)’은 ‘동일(同一)’의 뜻으로, 동일여부를 확인함을 말한다. 이는 특히 돈·곡식·군사출동·역마사용·검시(檢屍)·사형집행 등 중요슬롯 사이트에는 필수적으로 행하여졌다.

『경국대전』에 감합의 절차는 먼저 발송공문을 접어 원부에 대고 그 접선부에 글자를 써넣은 뒤 계인을 찍은 다음 공문은 발송하고, 원부에는 ‘아무 연월일 아무 자 제 몇 호 감합(某年月日 書塡某字 第幾號勘合)’이라 쓴다. 이를 감합식(勘合式)이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약의 경우 뒷날에 그 공문서의 진위를 판별할 슬롯 사이트게 한 것이다.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사이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