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작유구(耕作遺構)
경작유구는 인간이 생활에 필요한 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어떤 특정한 장소에 식물을 인위적으로 옮겨 생육을 보호 · 관리 · 통제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이나 장치를 가리키는 역사 용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논·밭이 확인된다. 밭은 하천의 활주사면부나 산지와 구릉지에서 이랑 고랑이 열을 이루어 조성되었다. 백전(白田), 전(畠)으로 표기되었으며 합전(合田), 상전(桑田), 마전(麻田)처럼 재배작물이 드러난 명칭도 사용하였다. 논은 주로 곡(谷)이나 하천의 배후습지에 만들어졌다. 도전(稻田)이나 수전(水田)으로 표현되었는데 점차 답이라는 고유문자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