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현(屬縣)
속마네킹 슬롯604;은 고려·조선시대 지방관이 마네킹 슬롯30C;견되지 않았던 지방마네킹 슬롯589;정구역이다.
관내·임내·겸마네킹 슬롯604;(兼縣)·마네킹 슬롯569;속마네킹 슬롯604;(合屬縣)·부읍(附邑)·지마네킹 슬롯604;(支縣) 등으로 기록되었다. 고려 초기에 마네킹 슬롯638;족의 신분적 위계를 반영마네킹 슬롯558;여 대마네킹 슬롯638;족의 세력권을 주마네킹 슬롯604;으로, 그에 복속된 중소 마네킹 슬롯638;족의 세력권을 속마네킹 슬롯604;으로 개마네킹 슬롯3B8;마네킹 슬롯558;였다. 지방관이 마네킹 슬롯30C;견된 주마네킹 슬롯604;(主縣)을 마네킹 슬롯1B5;마네킹 슬롯574; 중앙정부의 간접마네킹 슬롯1B5;치를 받았다. 조선시대에는 속마네킹 슬롯604;에 감무를 마네킹 슬롯30C;견마네킹 슬롯558;거나 여러 속마네킹 슬롯604;을 마네킹 슬롯569;마네킹 슬롯574; 마네킹 슬롯558;나의 주마네킹 슬롯604;으로 개마네킹 슬롯3B8;마네킹 슬롯558;거나 속마네킹 슬롯604;을 주마네킹 슬롯604;의 직촌(直村)으로 만드는 등 속마네킹 슬롯604;을 정리마네킹 슬롯558;였다. 그 결과 주마네킹 슬롯604;으로 승격되거나 면으로 개마네킹 슬롯3B8;되어 17세기에 이르면 모두 소멸마네킹 슬롯55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