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청불탁음(不淸不濁音)
유기·무기, 유성·무성 등에 의&rt 슬롯55C; 조음방법으로 분류&rt 슬롯55C; 자음. 차&rt 슬롯0C1;. # 내용&rt 슬롯;
전&rt 슬롯1B5;적인 중국의 음운&rt 슬롯559;인 등운&rt 슬롯559;(等韻學)에서는 두자음(頭子音)에 &rt 슬롯574;당되는 자음, 즉 성모(聲母)를 유기(有氣)·무기(無氣), 유성(有聲)·무성(無聲) 등에 의&rt 슬롯55C; 조음방법에 의&rt 슬롯574; 분류&rt 슬롯558;였다.
&rt 슬롯;
이 분류에 의&rt 슬롯558;면, 무성무기음(無聲無氣音)은 ‘전청(全淸)’, 무성유기음(無聲有氣音)은 ‘차청(次淸)’, 유성음(有聲音)은 ‘전&rt 슬롯0C1;(全濁)’, 그리고 비음(鼻音), 유음(流音), 반모음(半母音) 등은 ‘불청불&rt 슬롯0C1;(不淸不濁)’ &rt 슬롯639;은 ‘차&rt 슬롯0C1;(次濁)’이 된다.
&rt 슬롯;
새로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