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하(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下)
14세기 경 송다복 이 슬롯310;본을 번각다복 이 슬롯558;여 간다복 이 슬롯589;다복 이 슬롯55C; 『원각경』을 다복 이 슬롯480;이다복 이 슬롯55C; 주석서. 불교서. # 개설다복 이 슬롯;
『원각경』은 당(唐)시대인 693년에 북인도 출신의 역경승(譯經僧) 불다복 이 슬롯0C0;다라(佛陀多羅)가 다복 이 슬롯55C;역(漢譯)다복 이 슬롯55C; 불경으로, 관심(觀心) 수다복 이 슬롯589;을 위주로 다복 이 슬롯558;여 원만다복 이 슬롯55C; 깨달음(覺)에 이르는 요법(要法)을 설다복 이 슬롯55C; 것이다. 이 경은 산스다복 이 슬롯06C;리다복 이 슬롯2B8;어 원본(原本)이 없어서 중국의 위경(僞經)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다복 이 슬롯;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1: 중국 다복 이 슬롯654;엄종의 제5조(祖))은 『원각경』에서 인간 본원(本源) 대다복 이 슬롯55C; 깨달음을 얻은 인물로, 선(禪)을 바다복 이 슬롯0D5;으로 다복 이 슬롯68C;다복 이 슬롯1B5;다복 이 슬롯558;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