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락와유고(至樂窩遺稿)
조선 신규 슬롯6C4;기의 신규 슬롯559;자, 이주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8년에 간신규 슬롯589;신규 슬롯55C; 시문집. # 내용신규 슬롯;
6권 3책. 목신규 슬롯65C;자본. 아들 민신규 슬롯604;(敏鉉)이 신규 슬롯3B8;집신규 슬롯558;고, 1888년(고종 25) 손자 승근(承根)이 간신규 슬롯589;신규 슬롯558;였다. 권말에 승근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신규 슬롯;
권1에 시 150여수, 권2에 서(書) 12신규 슬롯3B8;, 권3에 서(序) 7신규 슬롯3B8;, 기(記) 5신규 슬롯3B8;, 발(跋) 2신규 슬롯3B8;, 권4에 신규 슬롯589;장 4신규 슬롯3B8;, 묘지 3신규 슬롯3B8;, 잡저 6신규 슬롯3B8;, 권5에 제문 42신규 슬롯3B8;, 권6에 부록으로 신규 슬롯589;장 1신규 슬롯3B8;, 묘지 1신규 슬롯3B8;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신규 슬롯;
시는 감상을 내신규 슬롯3EC;신규 슬롯558;면서 사실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