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시대 때의 문신·다복 다재 슬롯559;자, 송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다복 다재 슬롯589;다복 다재 슬롯55C; 시문집. # 내용다복 다재 슬롯;
1책. 석인본. 1920년대에 다복 다재 슬롯6C4;손 남다복 다재 슬롯604;(南顯)이 다복 다재 슬롯3B8;집, 간다복 다재 슬롯589;다복 다재 슬롯558;였다. 권두에 전경연참찬관(前經筵參贊官) 송영대(宋榮大)의 서문이 있다. 고려대다복 다재 슬롯559;교 도서관에 있다.
다복 다재 슬롯;
시 26수, 만사 2수, 문(文) 3다복 다재 슬롯3B8;, 부록에 연보·다복 다재 슬롯589;장·묘갈명 각 1다복 다재 슬롯3B8;, 민다복 다재 슬롯615;남(閔馨男) 등의 만사 2다복 다재 슬롯3B8;으로 구성되어 있다. 뒤에 『저은유고(苧隱遺稿)』와 『죽촌유고(竹村遺稿)』가 다복 다재 슬롯569;철되어 있다.
다복 다재 슬롯;
시에는 「춘일잡영(春日雜詠)」·「영설(詠雪)」 등 서정적인 것과 「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