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연활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한국서지학 인쇄 · 출판 영역에서, 조선시대의 금속활자 중 1436년에 주자소에서 납을 녹여 만든 병진자 금속활자.
이칭
이칭
병진자(丙辰字)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鉛活字)는 조선시대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중 1436년(丙辰)에 주자소(鑄字所)에서 납(鉛)을 녹여 만든 병진자(丙辰字)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이다. 『자치통감강목』 139권의 주조와 인쇄에서 대자(大字)인 병진자가 쓰인 바 있다. 병진자는 세계 최초의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

키워드
목차
정의
한국서지학 인쇄 · 출판 영역에서, 조선시대의 금속활자 중 1436년에 주자소에서 납을 녹여 만든 병진자 금속활자.
내용

세종(世宗, 13971450)이계전(李季甸, 14041459)·김문(金汶)에게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하게 하고, 이를 간행하고자 진양대군(晉陽大君) 이유(李瑈: 훗날 世祖)에게 ‘큰 글자[大字]의 자본(字本)’을 쓰게 하여 ‘강(綱)’을 삼아 바탕(底本)으로 하여, 이에 납(鉛)을 녹여 대자(大字)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를 새로 주3한 것이 바로병진자(丙辰字, 1436)이다.

병진자의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크기는 크고 작은 것에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세로 2.3cm, 가로 2.9cm, 높이 0.7~0.9cm’의 크기로 추정된다. 『자치통감강목』의 인쇄에서 중간 글자에 해당하는 ‘목(目)’의 인쇄에 동원된 옛 글자는 갑인자(甲寅字)의 중자(中字: 1.5×1.5×0.7cm)와 소자(小字)가 사용되었다. 『자치통감강목』의 주조와 인쇄에서는 대자인 병진자가 쓰인 바 있다. 『자치통감강목』 139권은 워낙 주2이라 그 인쇄 · 간행은 1438년에 완료되었다.

조선시대의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는 거의 모두 주1로 주조(鑄造)되었다. 조선 초기의 계미자(癸未字),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계열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들을 비롯하여 을해자(乙亥字) 등등이 모두 동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이다. 『자치통감강목』 총 139권의 큰 글자인 병진자만 유일하게 납을 녹여 만든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임이 주목된다.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의 재료인 납은 용해(溶解)되는 온도가 낮아 큰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인 대자의 주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납은 그 강도가 단단하지 못하고 물러서 조선 초기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의 주조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진자(丙辰字)’라는 큰 글자를 주조하는 데에 납이 쓰인 것은 눈여겨 볼만한 일이다. 그것은 아마도 『자치통감강목』이라는 주4의 인쇄에 필요한 대자를 주조하는 데 소요되는 대량의 금속 물량(物量)을 납으로 조달하는 방안이 훨씬 손쉬운 방법이었기 때문에 채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448년(세종 30)에 『동국정운(東國正韻)』을 인쇄하여 반포할 때, 한글과 한자의 대자는 모두 목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木活字)를 사용하였다는 점 또한 주목되는 사항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의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는 일반적으로 동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를 주조하여 아름다운 책을 제작하였다. 세종 시대의 갑인자(甲寅字)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세종 시대에 거질(巨帙)의 『자치통감강목』 139권을 인쇄하는 데 필요한 큰 글자를 특별하게 대량으로 주조하기 위하여, 납(鉛)을 투입하여 병진자(丙辰字)를 주성(鑄成)한 사례는 크게 주목된다. 납은 그 강도가 너무 무르기 때문에 세종 당시 등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의 주조에는 간택되지 못하였던 금속이다. 당시 갑인자 동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를 주조하였던 탁월한 기술로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鉛活字)인 병진자의 주성에도 성공하였던 것이라 볼 수 있다. 병진자의 주성(436) 이후 조선의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주조에서 납(鉛)이 그 재료로 선택된 사례는 다시 찾아볼 수 없다. 19세기 말기에 와서야 신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新鉛活字)가 비로소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병진자는 세계 최초의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

신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주5는 19세기 후반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1880년에 일본에서 최지혁(崔智爀)의 글씨를 바탕으로 신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가 주조되었고, 이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를 기반으로 1883년에 박문국(博文局)이 설치되고 신문 · 서책 등이 광범위하게 인출되었다. 이에 따라 지배 계층뿐만 아니라 서민 계층까지 인쇄 · 출판의 혜택을 받게 되었으며, 국민의 계몽과 교육에 이바지하였다. 따라서, ‘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와 ‘신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는 엄격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원전

『世宗實錄』 卷74, 1436년 7월 29일 條.

단행본

윤병태, 『조선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고: 대형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연세대학교 도서관학과, 1976)
청주고인쇄박물관,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의 옛 인쇄문화』(청주고인쇄박물관, 2009)
남권희, 『한국의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발달사: 조선시대』(경북대학교출판부, 2018)

논문

남권희, 「조선초기 금속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의 주조와 조판에 관한 연구」(청주고인쇄박물관, 2009)
주석
주1

구리로 만든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우리말샘

주2

매우 많은 권수(卷數)로 이루어진 책의 한 벌. 우리말샘

주3

녹인 쇠붙이를 거푸집에 부어 물건을 만듦. 우리말샘

주4

매우 많은 권수(卷數)로 이루어진 책의 한 벌. 우리말샘

주5

대한 제국 때부터 썼던 근대의 신식 납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송조체, 명조체, 청조체, 고딕체, 행서체(行書體), 초서체, 예서체(隷書體), 둥근 고딕체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