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말본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문자
문헌
1949년 장하일이 중학교의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문법교과서.
• 본 항목의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49년 장하일이 중학교의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문법교과서.
개설

『표준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장하일이 국어 문법에 관하여 지은 두 번째 문법서이다. ‘중학 1-2학년’용과 ‘중학 3학년’용 2책으로 나누었으며, 앞의 책은 품사론과 맞춤법, 뒤의 책은 문장론을 주로 다루었다. 장하일이 1947년에 지은 『중등 새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의 문법 체계를 학년에 따라 나누어 기술한 것이다.

서지적 사항

2책, 국판, 반양장. ‘중학 1-2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속표지, 일러두기 등 6쪽, 본문 120쪽, 부록 2쪽의 총 128쪽, ‘중학 3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속표지, 일러두기 등 8쪽, 본문 124쪽, 부록 2쪽의 총 134쪽. 1949년 8월 25일 서울 종로서관에서 발행하였다.

표지와 속지 상단에는 “문교부 인정필(文敎部 認定畢)”이 적혀 있다. 판(版)을 거듭하여 간행되다가 1956년 3월 20일에는 『표준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1, 2학년용) 1책으로 서울의 향린사에서 새롭게 간행되었다. 내용에는 큰 수정은 없으며, ‘중학 3학년’에서 “첫째 가름 모두풀이”의 월과 마디를 뽑아 추가하여 총 20장으로 늘어난 변화가 확인된다.

내용

『표준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중학 1-2학년’용과 ‘중학 3학년’용으로 구분하여 2책으로 간행된 것이다. ‘중학 1-2학년’은 총 18장으로 구분되며, “첫째 가름 임자씨, 둘째 가름 임자씨의 토, …… 열여섯째 가름 홀소리의 바뀜, 열일곱째 가름 준말[略語], 열여덟째 가름 띄어쓰기”로 구성된다. 일러두기에 밝힌 바와 같이 품사론과 맞춤법에 대한 설명을 주로 다룬다. ‘중학 3학년’은 총 8장으로 구분되며, “모두풀이, 임자말, 풀이말, 매김말, 어찌말, 홀로말, 월의 조각의 자리와 줄임, 월점”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문장론을 주로 다룬다.

전체적으로는 『중등 새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1947)의 문법 체계인 5품사와 5문장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중학 1-2학년’에는 품사를 중심으로 토에 대한 설명과 맞춤법이 기술되며, ‘중학 3학년’에는 구문(構文)의 5성분을 중심으로 토와 어미의 문법 기능을 설명하고, 구문 분석과 문장 부호 등의 내용이 기술된다. 『중등 새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1947)과 같이 토를 품사로 인정하지 않고 어미로 처리하고 있고, 목적어(目的語)와 보어(補語)를 부사어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교과서의 변천 과정인 ‘1차 검인정 시대(1949~1956)’에 문교부 인정을 받은 중학교 초급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교과서 5종 중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제2판 역대한국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대계』 제1부 제29책(김민수 외 편, 박이정, 2008)
『역대한국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의 통합적 연구』(고영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건국·과도기의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교과서와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교육의 특징」(허재영, 『한민족어문학』 66, 2014)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교과서의 변천」(이관규,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교육』 1, 2004)
집필자
신성철
    • 항목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라스베가스 카지노 슬롯 머신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