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에 있는 흥섀도 어 슬롯 강화(興福寺)는고려 때 왕실의 행차가 잦은 중요한 사찰이었다. 고려 조정은 왕경(王京, 개경) 못지않게 중요하게 여겼던 서경(西京, 평양)을 자주 찾았다. 국난 시에는 사찰과 동명신(東明神) 등에 국난 극복을 기원하였고, 왕족과 고위 신료들을 대동하고 평양에 갈 때는 흥섀도 어 슬롯 강화와 영명사(永明寺) 등을 들르고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로였다. 『고려사(高麗史)』를 보면 역대 국왕들의 흥섀도 어 슬롯 강화 행차를 여러 차례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053년(문종 7) 10월 7일에 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했다가 대동강에 나가 누선(樓船)을 타고 상장군(上將軍) 이상의 신료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1087년(선종 4) 9월 24일에 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였고, 같은 해 10월 17일에도 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와 금강사(金剛寺)에 행차하였다.”, “1102년(숙종 7) 8월 12일에는 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와 영명사에 행차하여 향을 올리고, 구제궁(九梯宮)에 가서 영명사 등의 시를 짓고 개경과 서경의 유신들에게 화답하는 시를 지어 올리도록 하고는 용선(龍船)을 타고 여러 신하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같은 해 9월 15일에는 흥섀도 어 슬롯 강화의 시왕당(十王堂)이 완성되어 태자에게 가서 행향(行香)하도록 명하였다. 다음날인 16일 왕과 왕비와 태자와 제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가서 낙성식을 거행하였다. 이해 10월 6일에도 왕은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였다.”, “1109년(예종 4) 4월 11일에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 허도(許度)를 보내 평양 목멱산(木覓山)의 동명(東明) 신사(神祠)에 제사 지내게 하고, 흥섀도 어 슬롯 강화 영명사 장경사(長慶寺) 등에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설치하여 여진과의 싸움에서 이기기를 빌었다. 이때 문하시중(門下侍中) 윤관(尹瓘)은 왕릉에 보내 역시 승전을 빌었다.”, “1116년(예종 11) 4월 7일에 금강사와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고, 돌아오는 길에 영명사에 이르러 누선을 타고 제왕(諸王) 재추(宰樞) 신료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왕이 지은 선려조(仙呂調)의 「임강선(臨江仙)」 3편을 신료들에게 보여주었다.”, “1120년(예종 15) 8월 29일에 왕이 왕비와 두 공주와 함께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여 강물을 관상하였다.”, “1127년(인종 5) 3월 18일에 왕이 왕비와 두 공주와 함께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였다가 재추와 및 근신들과 대동강 중류에서 누선(樓船)을 타고 뱃놀이를 하며 놀았다.”, “1168년(의종 22)에 왕이 흥섀도 어 슬롯 강화에 행차하고 나서 남포(南浦)에 용선(龍船)을 띄우고 재추와 근신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등이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흥섀도 어 슬롯 강화가 “평양부 남쪽 백 보 거리에 있다”고 적고 있어 16세기까지도 이 사찰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