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영흥 진정사 (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함경남도 북청군에 있었던 고려시대 의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북청군에 있었던 고려시대 의 사찰.
내용

문헌 자료를 보면 함경도에는 북청과 영흥 두 곳에 진정사(鎭靜寺)라는 슬롯 스 캐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청의 진정사(鎭靜寺)에 관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49에 "북청부(北靑府)에서 북쪽으로 20리 떨어진 평지에 있다"고 하였고, 『범우고(梵宇攷)』에서는 "지금은 폐사되었다"고 하였다. 영흥의 진정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권48에 "영흥군 대박산(大博山)에 있다"고 하였고, 『가람고(伽藍考)』에는 "태박산(泰博山)에 있는데, 부 서쪽 40리에 있다"고 하였다.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는 "옛터가 영흥군(永興郡) 의흥면(宜興面) 용남리(龍南里) 동방산(東方山) 기슭에 있다. 초석이 남아 있고 기와 조각도 산재해 있는데, 석탑이 무너져 있어 제조 형식은 분명하지 않다. 석비가 2기 있는데, 그 중 하나는 1835년에 이진화(李鎭華)가 지은 비문을 새겼다. 부근에 석불과 부도의 단편이 있다"고 하였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1108년(예종 3) 7월 28일에 사신을 동계(東界)에 보내 슬롯 스 캐터에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개설하고 비사문사(毘沙門寺)에 사천왕도량(四天王道場)을 개설하여 변방의 적을 물리치기를 빌었다고 하였다. 고려시대의 동계(東界)에 영흥진이 속해 있으므로, 『고려사』 기사에 나오는 슬롯 스 캐터는 영흥의 슬롯 스 캐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가람고(伽藍考)』
『고려사(高麗史)』
『범우고(梵宇攷)』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슬롯 스 캐터사전』(홍사성, 이화문화출판사, 1994)
『북한슬롯 스 캐터연구』(슬롯 스 캐터문화연구원, 슬롯 스 캐터문화연구원 출판부, 1993)
『한국슬롯 스 캐터전서』(권상로,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