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임현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신민회 평남지회와 대동청년단, 일제강점기에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임종건(林鍾健), 임현(林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7년 8월 5일
사망 연도
1937년 6월 24일
출생지
평안남도 안주
대표 상훈
건국포장(1980)|건국훈장 애국장(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임현은 대한제국기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인 신민회의 평남지회와 경상남도 동래에서 결성된 대동청년단에 참여하였다. 일제강점기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의정원과 교통국에서 활동하는 등 국내외에서 항일 투쟁을 전개한 독립위쳐 3 슬롯 모드가이다.

정의
대한제국기 신민회 평남지회와 대동청년단, 일제강점기에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임현(林玄)은 1887년 8월 5일 평안남도 안주에서 출생하여 1937년 6월 24일 사망위쳐 3 슬롯 모드.

주요 활동

1907년 4월경안창호·양기탁 등을 중심으로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의 평남지회에 참여위쳐 3 슬롯 모드고 한다. 평양을 중심으로 활동한 신민회 평남지회는 장응진이 주도하였으며, 대성학교 · 오산학교 · 태극서관 및 평양도자기회사 운영 등도 활동의 일환이었다.

1911년 일제가 조작한 이른바 ' 105인사건'으로 그 조직이 와해되는데, 임현이 언제 평남지회에 입회하여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어 1909년 10월경 안희제김동삼·남형우·서상일 등이 경상남도 동래에서 조직한 항일 비밀결사인 위쳐 3 슬롯 모드단(大同靑年團)에서도 활동위쳐 3 슬롯 모드고 한다.

대동청년단의 단규는, 1. 단원은 반드시 피로 맹서할 것, 2. 새 단원의 가입은 단원 2명 이상의 추천을 받을 것, 3. 단에 관한 사항은 문자로 표시하지 말 것, 4. 경찰 기타 기관에 체포될 경우 그 사건은 본인에게만 해당하고 다른 단원에게 연루시키지 말 것 등이라 알려져 있다. 대동청년단은 상하이 위쳐 3 슬롯 모드정부와 국내를 연결하는 연통제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하며, 의열단의 국내 연락 기관이라고도 한다.

위쳐 3 슬롯 모드단은 신민회 계열의 영남 지역 인사들이 결성하였으며, 임현 및 김동삼 · 김홍량· 남형우 ·박중화·신백우·신채호 등은 대동청년단 단원이자 신민회 회원이었다고 한다. 대동청년단은 1914년부터 백산상회(白山商會)를 거점으로 국내외 독립위쳐 3 슬롯 모드가들을 연결하고 독립위쳐 3 슬롯 모드 자금을 모집하여 대한민국위쳐 3 슬롯 모드정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위쳐 3 슬롯 모드.

임현이 상하이로 건너간 시기와 1919년 3 · 1위쳐 3 슬롯 모드 당시의 활동 등은 확실하지 않으나,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위쳐 3 슬롯 모드정부가 수립되자 위쳐 3 슬롯 모드의정원 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교통국 위원으로도 활동위쳐 3 슬롯 모드. 당시 교통국 위원은 임현과 선우혁·양준명·이범교 · 고한 · 윤원삼 · 이규정 · 손진형 · 김진원 · 이영찬 · 임봉수 등 11인이었다.

교통국의 주요 업무는 국내와의 통신 · 연락이었으며, 각종 정보를 수집 · 검토 · 교환하여 임시정부에 보고하고, 정부의 각종 기밀문서 등을 국내에 전달하였다. 또한, 교통국의 조직 및 독립위쳐 3 슬롯 모드을 위한 인물의 소개와 무기의 수송 · 전달, 군자금의 모집 등도 담당하였다. 임현 외에 대동청년단 출신으로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은 김갑 · 김홍권 · 남형우 · 민강·윤현진 · 최인환 등이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건국포장,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 등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경로, 『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한성대학교 출판부, 2012)
『독립위쳐 3 슬롯 모드사』 4(국가보훈처, 1986)
『위쳐 3 슬롯 모드유공자 공훈록』 1(국가보훈처, 1986)
독립위쳐 3 슬롯 모드사편찬위원회, 『독립위쳐 3 슬롯 모드사자료집』 9(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논문

이동언, 「백산 안희제 연구」(『한국독립위쳐 3 슬롯 모드사연구』 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위쳐 3 슬롯 모드사연구소, 1994)
집필자
한규무(광주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위쳐 3 슬롯 모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