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약목비트 슬롯은 '대옹총'으로 불리기도 한다. 비트 슬롯이 속한 약목비트 슬롯군은 해발 366m의 수물산에서 동으로 뻗어 내린 소구릉에 돌방[石室] 및 돌덧널무덤[石槨墓] 20∼30여기, 동북으로 이어지는 구릉에 중대형의 봉토분이 40∼50여기, 중간 능선에 소형 돌덧널[石槨]과 돌방무덤[石室墓] 다수가 조영되어 대략 300여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발굴조사된 약목비트 슬롯은 동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하단부의 함방뫼 마을에 위치하며, 1960년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비트 슬롯의 구조는 원형 봉토분으로 직경 21m, 높이 북 1m, 동서 3m, 남 5m로 남고북저의 구릉에 축조하였다. 중앙부에 주곽인 1호 돌방을 설치하고 개석을 덮은 후 그 위에 점토로 밀봉하고 다시 크기 20∼40㎝ 크기의 할석과 천석으로 50㎝ 정도 쌓았다. 봉토의 외곽은 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호석을 쌓아 돌렸고, 남쪽 호석에 연접하여 1호와 평행하게 2호 돌덧널을 축조하였다. 돌방의 구조는 장방형 판상식 석실로 길이 5.8m, 폭 1.3m, 높이 1.4m 로 석재는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으며, 개석은 길이 2m, 폭 1.5m, 두께 30㎝의 대판석 5매를 횡으로 덮고 개석사이의 틈은 할석으로 채웠다. 바닥은 점토로 다진 후 천석을 깔았다. 유물의 배치상태는 벽과 접한 석단 위에 단경호 1점, 파수부배 1점, 교구가 있었다. 그 다음 자갈이 깔린 곳에 마구류와 발형기대·통형기대·무개고배·적색연질옹·장경호 등이 놓여 있었으며, 중앙부에 피장자가 착장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도와 철촉군이 있었다. 그 아래 남벽에 고배 10점이 2열로 놓여 있었으며, 서벽에 접하여 대옹·고배·긴목항아리·적색연질토기가 배치되었다.
돌방의 형태는 대구의 비산동 37호분과 내당동 55호분, 성주의 성산동 38호분과 58호분에서 확인되었다. 성산동 비트 슬롯은 구덩식[竪穴式]으로 판명되었지만, 비산동과 약목비트 슬롯은 앞트기식 돌방무덤[橫口式石室墓] 구조일 가능성이 크다. 출토된 유물 중 토기류는 전체적으로 5세기 중엽경의 신라토기 양식이지만 낙동강 동안의 대구지역과는 차별성이 있고 성주지역과 양식을 공유하는 특색이 있는 것으로 보아 낙동강 서안 문화권에 속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