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술래(여우)가 여러 파 파파 슬롯꾼을 잡거나 건드리는 파 파파 슬롯이다. 일본의 전래 노래인 ‘여우야 여우야(きつねさん きつねさん)’를 우리나라 말로 바꾸어 불렀으며, 방식도 일본의 어린이들이 하는 방식에서 따온 파 파파 슬롯이다.
‘술래’라는 말은 순라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는데,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송나라 사신의 객사를 지키기 위한 경비를 맡는 일을 두고 순라(巡邏: 도성 둘레를 순시 도는 일)라고 하여 이 말이 고려 때도 널리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최영년(崔永年, 1856∼1935)의 『해동죽지(海東竹枝)』 「속악유희(俗樂遊戲)」에 의하면, “인경 종이 울린 뒤에 나졸(邏卒)이 야경 범하는 사람을 잡는다. 어린이들이 이것을 흉내 내어 파 파파 슬롯를 하였는데, 이것을 ‘순라잡기’라 한다.”라고 전한다.
술래잡기는 술래가 숨어있는 여러 파 파파 슬롯꾼들을 찾으러 다니는 아이들의 파 파파 슬롯이다. 우리나라의 술래잡기 파 파파 슬롯 가운데 여우가 술래로 등장하는 사례는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여우를 주제로 한 일본의 여우파 파파 슬롯는 17세기 전부터 ‘여우의 창’이라고 불린 여우파 파파 슬롯(きつね遊び)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1876년 일본에 유치원이 개설되면서 술래와 파 파파 슬롯꾼이 노래를 주고받는 문답형식으로 만들어져 오늘날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술래가 파 파파 슬롯꾼들을 잡으러 다니는 파 파파 슬롯와 문답형식의 노래를 갖춘 파 파파 슬롯들은 한국과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여우와 관련한 여우파 파파 슬롯의 현재 형식은 일제강점기에 보급되어 전승된 것으로 여겨진다.
파 파파 슬롯는 술래 정하기, 여우파 파파 슬롯소리 부르기, 술래잡기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술래 정하기는 보통 가위·바위·보로 정한다. 술래가 정해지면, 술래는 동그라미 원에 뒤돌아 앉게 되고, 나머지 파 파파 슬롯꾼들은 출발선에 서게 된다. “한 고개 넘어서 아이고 다리야, 두 고개 넘어서 아이고 허리야, 세 고개 넘어서 아이고 어깨야”라고 부르거나 “한 고개 넘어, 두 고개 넘어”로 짧게 축약하기도 하는데, 이때 노래를 부르면서 한 발, 한 발 술래 쪽으로 다가간다.
술래 가까이에 이르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의 질문 형식으로 세 번 부르게 된다. 첫 번째로 파 파파 슬롯꾼들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라고 노래하면, “잠잔다”라고 술래가 노래를 이어 받게 되고, 파 파파 슬롯꾼들이 다시 “잠꾸러기”라고 되받는다.
두 번째에서도 같은 문답 형식으로 파 파파 슬롯꾼들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라고 하면, 술래는 “세수한다”라고 하는데, 이때 파 파파 슬롯꾼들은 “멋쟁이”라고 노래한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 파 파파 슬롯꾼들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라고 노래하면, 술래는 “밥 먹는다”라고 노래하는데, 파 파파 슬롯꾼들이 “무슨 반찬”하고 물어보면, 술래는 “개구리반찬”이라고 대답한다.
그러면 또 다시 파 파파 슬롯꾼들이 “살았니? 죽었니?”라고 묻게 되는데, 이때, 술래는 두 가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하나는 “죽었다”이고, 나머지 하나는 “살았다”이다. 술래가 “죽었다”라고 말한 경우 파 파파 슬롯꾼은 움직이지 못한다. 만약 움직이는 파 파파 슬롯꾼이 있다면, 술래가 되어야 한다.
반면, “살았다”라고 하면 파 파파 슬롯꾼들이 도망을 가게 되는데, 이때 술래에게 잡히거나 접촉이 되는 파 파파 슬롯꾼은 술래가 되어야 한다. 만약 여러 명의 파 파파 슬롯꾼이 술래에게 잡힌 경우에는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결정한다. 반대로 한 명도 잡지 못하면, 술래가 바뀌지 않는다.
한 명의 술래가 여러 명을 잡으러 다니는 형식이나 술래와 파 파파 슬롯꾼들이 노래를 주고받는 문답 형식의 파 파파 슬롯는 우리나라의 전래파 파파 슬롯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방식이다. 봉사파 파파 슬롯나 강강술래, 도야지 잡기 등의 파 파파 슬롯가 그것이다. 그런데 여우파 파파 슬롯는 일제강점기 이후 전래되어 현재까지 전승된 측면에서 또 다른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파 파파 슬롯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