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주명현십초시』는 중국 당나라의 시와 신라의 시 300수를 뽑아 편찬한 고려시대 시선집을 1452년(문종 2) 권람이 교정하여 다시 간행한 책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당나라 26인, 신라 4인의 칠언율시 각 10수를 뽑아 주해를 붙인 것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10세기 초 무렵에 편찬된 『십초시』에 승려 자산이 주석을 부기하여 14세기 초엽에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1337년(고려 충숙왕 복위 5) 안동본을 저본으로 삼은 권사복 필사본을 권람이 교정하여 1452년(문종 2) 경상도 밀양에서 간행하였다.
이 책은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전기인 10세기 초 무렵에 편찬된 『십초시』에 주석을 단 것으로, 고려 후기인 14세기 초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석자는 승려 자산(子山)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현전하는 판본은 1337년 안동에서 간행된 판본을 저본으로 삼은 권사복(權思復) 필사본을 권람(權擥)이 교정하여 1452년 경상도 밀양에서 다시 간행한 것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당나라 시인 26인, 신라 시인 4인의 칠언율시 각 10수, 총 300수를 선발하였다. 각 권에 10명씩 수록하였다. 수록된 당 시인은 백거이(白居易), 유우석(劉禹錫), 온정균(溫庭筠), 장적(張籍), 장효표(章孝標), 두목(杜牧), 이원(李遠), 허혼(許渾), 옹도(雍陶), 장호(張祜), 조하(趙蝦), 마대(馬戴), 위섬(韋蟾), 피일휴(皮日休), 두순학(杜荀鶴), 조당(曹唐), 방간(方干), 이웅(李雄), 오인벽(吳仁璧), 한종(韓琮), 나업(羅鄴), 진도옥(秦韜玉), 나은(羅隱), 가도(賈島), 이산보(李山甫), 이군옥(李群玉)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모두 중당(中唐)과 만당(晩唐) 시기에 해당하는 인물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신라 시인은 최치원(崔致遠), 박인범(朴仁範), 최승우(崔承祐), 최광유(崔匡裕)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모두 신라 말기 도당(渡唐) 유학생으로 주1에 급제한 인물들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이 책에 수록된 시는 당대(唐代)의 구본(舊本)에 가까운 문헌에서 선발한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문헌에 보이지 않는 당과 신라의 주2가 100수 가까이 수록되었다. 특히 주석에 주3를 자주 인용하여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학계도 주목하는 문헌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서울대학교 규장각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학연구원에 동일한 판본이 소장되어 있으나, 권두의 서문 일부가 손상되었다. 2017년 1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현재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학중앙연구원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