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 ( M 피망 슬롯 칩)

선사문화
작품
국가유산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M6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한 쌍.
이칭
이칭
금제이식(金製耳飾)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6세기
소장처
국립진주박물관(현, 경상대학교박물관 위탁 보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피망 슬롯 칩(陜川 玉田 M6號墳 出土 金製耳飾)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9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피망 슬롯 칩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피망 슬롯 칩대학교) 피망 슬롯 칩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칩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피망 슬롯 칩는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M6호분에서 출토된 금피망 슬롯 칩 한 쌍이다. 중간장식의 형태는 신라 피망 슬롯 칩와 유사하고 수하식은 대가야의 산치자형 끝장식으로 되어 있어 두 양식을 결합한 독특한 혼합양식이다. 6세기 전반 가야 지역의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2019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M6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한 쌍.
제작 배경

6세기 전반,대피망 슬롯 칩권의 유력자들은 자신들의 위세를 강조하기 위해 금속공예품을 소유했다. 옥전고분군은 대가야를 구성한 다라국(多羅國) 지배층 묘역이다. 옥전 M6호분 금피망 슬롯 칩는 대가야의 왕도(王都)인 고령 소재 귀금속 공방(工房)에서 만들어져 다라국으로 전해진 것이다.

내용

이 피망 슬롯 칩가 발굴된 합천 옥전 M6호분은 옥전고분군에서 늦은 단계에 축조된 대형분이다. 매장 주체부는 구덩식 돌덧널[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이다. 금동관, 은관, 장식대도 등과 함께 금피망 슬롯 칩 1쌍이 출토되었다. 피망 슬롯 칩는 무덤 주인공의 유해에 착장된 모습으로 출토되었다.

형태 및 특징

피망 슬롯 칩의 중심고리는 금판을 파이프 모양으로 둥글게 말아 만든 것이며 속이 비어 있다. 대가야 피망 슬롯 칩의 중심고리 가운데 굵은 편이다. 중간식으로 작은 고리를 연접해 만든 구체(球體)와 반구체가 사용되었고 달개가 장식되어 있다. 드림은 산치자형이고 끝에 금알갱이가 붙어 있다. 중심고리나 달개의 형태로 보면 옥전 M4호분 금피망 슬롯 칩와 유사해 대가야 공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구체와 반구체를 중간장식으로 활용한 점은 신라 피망 슬롯 칩와 공통한다. 다만 구체의 형태가 편구형이라는 점은 이 피망 슬롯 칩만의 특색이다. 구체와 반구체 사이에 원통형 장식이 부가된 점도 신라 피망 슬롯 칩 중에서는 유례가 드문 편이다.

의의 및 평가

대가야에서 금속공예문화가 꽃을 피우던 6세기 전반에 제작된 유물로, 신라 금피망 슬롯 칩의 중간장식과 가야의 산치자형 끝장식을 결합한 독특한 혼합양식이다. 피망 슬롯 칩 지역의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피망 슬롯 칩. 2019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합천 옥전고분군Ⅳ-M4 · M6 · M7피망 슬롯 칩-』(경상대학교박물관, 1993)
집필자
이한상(대전대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칩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피망 슬롯 칩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피망 슬롯 칩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