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 서산 천장사 아미타후불탱화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충정남도 서산시 고북면 천장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아미타후불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산천장사플레이 텍 슬롯후불탱화(瑞山天臧寺阿彌陀後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플레이 텍 슬롯유산(2007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천장사길 100 (고북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정남도 서산시 고북면 천장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아미타후불도.
개설

2007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8세기 후반에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승 상겸(尙謙)이 1788년에 그린 것으로, 원래 관음사 플레이 텍 슬롯로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서산시 천장사에 소장되어 있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보살과 제자, 동자 등의 권속이 둘러싸고 있는 군도(群圖) 형식의 아미타불도이다.

내용

본존인 플레이 텍 슬롯불은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두르고 높은 대좌 위에 결가부좌하였다.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작게 묘사되었으며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다. 착의법은 편단우견(偏袒右肩)으로 입은 후 대의로 오른쪽 어깨를 다시 감쌌다. 수인은 오른손은 가슴 부근으로 들어 첫째와 셋째 손가락을 마주 잡고 왼손은 가부좌한 무릎 위에서 첫째와 셋째 손가락을 마주 잡은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결하였다.

본존의 아래에는 좌우 협시플레이 텍 슬롯인 관음플레이 텍 슬롯과 대세지플레이 텍 슬롯이 각각 정병과 여의를 들고 본존을 향해 서있으며, 그 위로는 금강저를 든 플레이 텍 슬롯과 합장한 플레이 텍 슬롯이 협시하고 있다. 본존의 신광 좌우로는 10대 제자와 범천 및 제석천, 용왕과 용녀, 분신불 등이 본존을 에워싸고 있으며, 화면 가장자리에는 사천왕이 좌우 각 2구씩 호위하고 있다. 관음플레이 텍 슬롯과 대세지플레이 텍 슬롯 사이에는 두 명의 동자가 두 손으로 공양물을 받들고 서있다.

인물의 표현은 하단에 그려진 권속들은 크게 묘사한 반면 위로 올라갈수록 권속들의 크기를 작게 표현하여 원근감을 느끼게 한다. 색채는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많이 사용플레이 텍 슬롯으며, 녹색과 군청색을 함께 사용플레이 텍 슬롯다.

이 플레이 텍 슬롯는 상겸이 수화승이 되어 제작하였다. 상겸(尙謙)은 18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화승으로, 남장사 『불사성공록(佛事成功錄)』(1788)에 ‘경성양공(京城良工)’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경기도 화승으로 추정되지만, 경기도 외에 경상도와 전라도 등에서도 활동하였다. 그는 『문효세자묘소도감의궤(文孝世子墓所都監儀軌)』(1786), 『장조영우원천원도감의궤(莊祖永祐園遷園都監儀軌)』(1789), 『장도현륭원원소도감의궤(莊祖顯隆園園所都監儀軌)』(1789) 등 공역(工役)에 종사하였으며, 1790년의 용주사 창건 때에는 삼세불도를 비롯하여 칠성도, 감로도 등을 제작하는 등 왕실 불사에 참여할 정도로 기량을 인정받았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후반에 경기도를 중심으로 경상도, 전라도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상겸이 그린 아미타플레이 텍 슬롯로서, 좌우대칭의 안정된 구도와 화려한 보관, 다소 길쭉한 상호, 음영법의 사용 등 18세기 후반 경기도 지역 플레이 텍 슬롯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아미타플레이 텍 슬롯 연구』(유마리, 문화재청, 2012)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플레이 텍 슬롯』(김정희, 돌베개,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플레이 텍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플레이 텍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