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김제 문수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 )

김제 문수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김제 문수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각
작품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문수사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수사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아미타여래좌상(文殊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유산(2000년 03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북 김제시 황산5길 158 (황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문수사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개설

2000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은 높이 66㎝, 무릎 폭 47.1㎝.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은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어 조성 사찰이나 조각승 등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으나 사찰 측에 의하면 1715년(숙종 14)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내용

문수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가 66㎝인 중형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으로, 상체를 곧게 세우고 머리를 앞으로 살짝 내밀고 있다. 머리에는 경계가 불분명한 육계(肉髻)와 뾰족한 나발(螺髮)이 표현되어 있고, 머리 중앙에 반원형의 중간계주(中間髻珠)와 정수리에 윗부분이 둥글고 낮은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 각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은 눈꼬리가 약간 위로 올라가고, 삼각뿔에 가까운 코는 콧날이 곧게 뻗었으며, 입은 은은한 미소를 보인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희미하게 새겨져 있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大衣)자락은 목에서 가슴까지 V자형으로 짧게 늘어지고 나머지 대의자락이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간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편삼과 대의자락이 배에서 접혀 있고, 하반신에 늘어진 대의 자락은 배에서 수직으로 짧게 늘어지고 나머지 대의 자락이 좌우로 펼쳐져 있다. 왼쪽 무릎에는 소매 자락이 뾰족하게 늘어져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승각기(僧脚崎)는 상단을 수평으로 마무리하고 대각선으로 접었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뒷면의 대의 처리는 목둘레에 끝단을 두르고,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수인은 양손을 배 높이까지 올리고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인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석가불을 제외한 여래상과 보살상이 취한다.

특징

18세기 전반의 기년명(紀年銘)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들과 비교해 보면, 이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은 착의법이나 신체 비율 등에서 1700년부터 1720년 사이에 제작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18세기 전반에 활동한 조각승인 진열이나 하천 등이 만든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과는 얼굴에서 풍기는 인상이나 착의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의의와 평가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은 1715년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에서 기준 작품이 된다. 이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을 만든 조각승의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18세기 전반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양식의 다양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 양사재, 2007)
『한국의 사찰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재』전라북도·제주도(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재청·(재)대한불교조계종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유산발굴조사단, 2003)
『전라북도의 불교유적』프라그마틱 슬롯 무료·탑·석조물 편(국립전주박물관, 2001)
「조선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연구」(최선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고양 상운사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아미타삼존불좌상과 조각승 진열」(최선일, 『미술사학연구』244, 한국미술사학회, 2004)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