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찰피나무

고성 북평리 찰피나무
고성 북평리 찰피나무
식물
생물
피나무과 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이칭
이칭
염주보리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피나무과 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내용

찰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는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과의 주1로 높이가 20m 정도까지 크게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이다.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에 있는 찰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는 1986년 8월 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흔히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라고 부르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는 우리나라만 해도 9종이나 되며 서로 구별이 쉽지 않다. 대개 열매로 구분하는데, 둥글고 표면에 줄이 없는 것이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둥글고 열매의 아래 부분에 희미한 줄이 있으면 찰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5개의 줄이 밑에서 열매 끝까지 있으면 염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둥글고 밑 부분에만 5개의 줄이 있는 것을 보리자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라고 한다.

줄기는 곧게 올라가서 원형의 수형을 만든다. 짙은 회색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껍질은 매끈하며 오래되면 세로로 길게 갈라진다. 어른 손바닥만큼 큰 잎은 어긋나기를 한다. 잎의 밑부분은 심장형으로 오목하고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연한 황백색으로 핀다. 둥근 열매는 포에 붙어 있어서 떨어질 때 프로펠러처럼 날아서 이동한다. 양수지만 음지에서도 잘 견딘다. 습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추위와 공해, 병충해에 내성이 있지만 건조에는 약하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란 이름은 ‘껍질〔皮〕을 쓰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껍질의 섬유는 질기고 길어서 밧줄이나 삿자리, 자루, 각종 농사용 도구에서 어망에 이르기까지 대단히 귀중하게 이용되었다.

찰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를 비롯한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종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들의 공통적인 쓰임새는 열매로 염주를 만든다는 것이다. 열매 속에는 윤기가 반질반질한 단단한 씨가 들어 있는데, 절에서 염주를 만드는 재료로 귀하게 쓰여 왔다. 다만 절에서 염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라고 하여 심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는 주로 보리자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이다.

목재는 연한 황백색으로 가볍고 연하면서도 결이 치밀하고 곧아서 가공하기가 쉽다. 또 빨리 자라고 구하기가 쉬워서 판자로 켜서 궤짝을 만드는 데 널리 쓰였다.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궤짝 역시 대부분이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로 만들어졌다.

그밖에 불경을 얹어 두는 상〔經床〕, 밥상, 교자상, 주2으로 쓰였고, 산간지대에서는 굵은 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속을 파내어 독으로 쓰기도 했다. 또한 비자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나 은행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보다는 조금 못하지만 바둑돌을 놓을 때 느껴지는 표면의 탄력성과 연한 갈색의 색조가 좋아 바둑판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문화로 역사로 만나는) 우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세계』2(박상진, 김영사, 2011)
『한국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김진석·김태영, 돌베개, 2011)
『원색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2003)
『궁궐의 우리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박상진, 눌와, 2001)
『한국민속식물』(최영전, 아카데미서적, 1992)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www.nature.go.kr)
주석
주1

줄기가 곧고 굵으며 높이가 8미터를 넘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수간(樹幹)과 가지의 구별이 뚜렷하고, 수간은 1개이며, 가지 밑부분까지의 수간 길이가 길다. 소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향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감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여러 사람이 둘러앉아 먹을 수 있게 만든 큰 상.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