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劉康烈)이 1957년 제6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출품한 염색 작품이다. 화면 하단에 바다 바람에 일렁이는 굵은 파도를 배치하였고 그 위에 분청사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도안의 물고기 한 쌍을 투박한 선으로 묘사하였다. 흰 바탕색과 먹선의 흑백 대비가 시원하고, 가느다란 크랙 라인과 굵은 먹선 그리고 물고기의 각진 선 등 선의 굵기와 변화가 미묘하다. 물고기는 호랑이나 십장생, 나비 등과 마찬가지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이 즐겨 차용하였던 민화적 소재의 하나인데, 전통적 소재를 목판화 기법으로 단순화시키고 납방염 기법으로 제작하여 현대 섬유미술을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천 위에 납방염. 세로 104㎝, 가로 65㎝. 개인 소장. 우정(愚楨)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의 「해풍」은 1957년 제6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으로 약칭)의 추천작가로서 「바다와 나비」와 함께 출품한 작품이다. 화면 하단에 바다 바람에 일렁이는 굵은 파도를 배치하였고 그 위에 분청사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도안의 물고기 한 쌍을 투박한 선으로 묘사하였다. 흰 바탕색과 먹선의 흑백 대비가 시원하고, 가느다란 크랙 라인(crack line : 균열선)과 굵은 먹선 그리고 물고기의 각진 선 등 선의 굵기와 변화가 미묘하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의 납방염 작품의 특징이 잘 드러난 1950년대 대표작이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은 13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1944년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공예도안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중인 1941년 일본공예가협회전에 염색 작품을 출품하여 가작으로 입선한 뒤, 도쿄에 있는 사이토[齋藤]공예연구소에서 도제식으로 일본의 전통 염색기법을 배웠다. 해방 이후 1952년 부산 국무원에 「호랑이」를 비롯한 납염(蠟染) 작품 2점을 출품하여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은 국전 공예부에 염색 작품을 출품하여 이 시기 공예계를 이끌었다. 1954년 제3회 국전에서 「향문도(香紋圖)」가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이후 1955년 제4회부터는 국전 추천작가로 활동하며 제4회 「만추」, 제5회 「계절」, 제6회 때에는 「바다와 나비」, 「해풍」 등 2점을 출품하였다. 「해풍」은 바다에 바람이 휘몰아쳐 용솟음치는 성난 파도 위에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물고기를 표현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의 1950년대 대표작이다.
한 쌍의 물고기는 호랑이나 십장생, 나비 등과 마찬가지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이 즐겨 차용하였던 민화적 소재의 하나인데, 목판화와 염색 기법을 접목시키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즉 전통적인 대상을 극도로 단순화시켜 굵고 거친 판화적 질감을 먹선에 반영하였다. 납방염을 할 때에도 다색 목판화를 제작하듯 바탕색은 그대로 두되 주제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황색과 적색 계열의 네댓 가지 색채로 최소화하여 염색한 것이다. 바탕색을 밀납으로 면 막음한 후, 밝은 색부터 염색하면서 점차 납으로 막아가다가 마지막으로 외곽선에 먹색으로 칠한 후 전체 화면에 밀납을 바른다. 그리고 구김을 가해 납을 깨뜨린 다음 먹칠하면 화면 전체에 자잘한 크랙 라인이 강조되는 것이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은 국전에 비슷한 경향의 염색 작품들을 출품하였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열은 1950년대부터 1976년 사망할 때까지 조선시대 민화에 등장하는 전통적 소재를 목판화 기법으로 단순화시키고 납방염 기법으로 제작하여 현대 섬유미술을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 경향은 홍익대학교 공예과에서 양성한 후진들과 1960~70년대 국전 출품 작품에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