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g 슬롯 전설 ()

조각
작품
조각가 김종영이 1958년에 철조 용접하여 제작한 추상조각.
이칭
이칭
Work58-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각가 김종영이 1958년에 철조 용접하여 제작한 추상조각.
내용

1959년 11월 중앙공보관에서 있었던 ‘김종영 장우성 2인전’에 출품한 8점의 조소rtg 슬롯 중 하나이다. 1958년에 제작된 「전설」은 작가 생전에 출판한 rtg 슬롯집에는「Work58-2」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rtg 슬롯의 제작방식은 철조 용접이다. 당시 조각가들이 책으로만 보아왔던 이 새로운 조형은 1957년에 있었던 ‘미국현대작가8인전’을 통해 당시 조각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에 자극받은 조각가들은 나름의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과 시도’는 이 시기 추상에 대한 조각가들의 공통점이기도 했다.

철판을 오리고 용접한 부분의 거칠거칠한 자국이 마띠에르 역할을 하는 이 rtg 슬롯의 형상은 추상적이지만 기초적인 자연물의 형태를 상기시킨다. 나무와 가지 그리고 잎들과 같은 수목의 구성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좌우로 단단하게 고착된 형태는 산사의 일주문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전통으로서 나무에서 기원한 형태의 유비성(類比性)을 느끼기 때문이다. 결국 감상자가 무언가 형태를 유추하게 되는, 낭만적 감정이 rtg 슬롯에 투사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마치 공간에 듬뿍 먹물을 묻힌 붓을 휘둘러 글씨를 쓴 탓에 공간에 스며들어 파묵이 되고 획 좌우로 먹물이 튄 것과 같은 상황을 상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작가의 신체성이 rtg 슬롯에 드러난 결과이며, 철조 용접이 표면 마띠에르가 아닌 작가의 신체를 표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채택되는 특이점을 지닌다.

의의와 평가

김종영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 rtg 슬롯은 여느 철조 용접보다 보관 상태가 좋은 편이다. 게다가 규모도 적지 않아 당시 작가의 기량을 확인하게 한다. 제작 당시의 미술계 유행과 전후 실존주의의 영향으로 철조 용접이 유포되는 과정을 유추하게 하는 rtg 슬롯이다.

특히 ‘김종영 장우성 2인전’에 전시됨으로써 학교에서 교수의 rtg 슬롯 제작방식을 보아오던 제자들에게 추상 용접조각의 실제를 보여줌으로써 한국 용접 추상조각의 선도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rtg 슬롯, 인생·예술·사랑』(rtg 슬롯미술관, 2002)
『rtg 슬롯 특별전 그림과 조각』(가나아트 센터, 1998)
『초월과 창조를 향하여』(열화당, 1983)
「우성 rtg 슬롯의 1950년대 조각에 대한 연구」(조은정, rtg 슬롯미술관,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