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알려진 위쳐 3 슬롯 모드구 일괄유물이다. 2012년 10월 30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위쳐 3 슬롯 모드구는 청동제 원통형 외합, 유기제 내합, 수정으로 만든 병 모양의 위쳐 3 슬롯 모드호로 구성되었으며, 위쳐 3 슬롯 모드 2과가 발견되었다. 외합은 단층이며, 표면에는 굵은 횡선이 둘러져 있다. 내합은 보주형 꼭지가 달린 뚜껑을 갖추고 있는데, 기물의 형태가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유제 합과 비슷하다. 위쳐 3 슬롯 모드호는 수정을 깎아 만든 것으로, 전(傳) 김시습 부도 출토 수정 위쳐 3 슬롯 모드호의 형태와 비교할 수 있다.
이 유물은 제작 연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대체로 15세기 후반 이후의 유물로 알려져 있다. 전 경주 출토 승위쳐 3 슬롯 모드구 일괄품은 명문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위쳐 3 슬롯 모드구의 외형과 재료, 세부 장식, 관련 유물 검토 등을 통해 볼 때,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위쳐 3 슬롯 모드구는 외합과 내합, 위쳐 3 슬롯 모드호를 갖춘 구성이며, 위쳐 3 슬롯 모드와 두정골(頭頂骨)이 확인되었다. 일괄품으로 남아 있고 봉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승위쳐 3 슬롯 모드 장엄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