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주당현절구삼체시법(增註唐賢絶句三體詩法)』은 송(宋)나라 주필(周弼)이 칠언절구(七言絶句), 칠언율시(七言律詩) 그리고 오언율시(五言律詩) 등 삼체시(三體詩)만을 모아 찬집(撰集)한 것을 석원지(釋圓至)가 주를 달고 배유(裵庾)가 증주(增註)한 시선집으로, 조선시대 한시(漢詩)를 학습하기 위한 교재로 사용되었다. 2012년 인천시는 가천박물관이 기증한 저글러 슬롯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했다.
남송(南宋) 이종조(理宗朝)의 시인 주필은 작시(作詩)의 모범으로 여겨졌던 당시(唐詩)를 편리하게 감상하고, 한시의 표현 기법과 구성 형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기 위하여 『증주당현절구삼체시법』을 편찬하였다. 저글러 슬롯은 조선 초기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 조선에서 간행된 시기 또한 비슷하다. 이후 조선 중기 무렵까지 간행이 이루어졌는데, 경상도를 비롯해 전라도, 충청도 등을 중심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저글러 슬롯의 크기는 세로 24.0㎝, 가로 17.5㎝이며, 제책(製冊)은 오침안 선장본(五針眼 線裝本)이다. 변란은 상하단변(上下單邊) · 좌우쌍변(左右雙邊)으로 되었으며, 광곽(匡郭)의 크기는 세로 18.8㎝, 가로 15.2㎝이다. 본문의 판심부는 상하대흑구(上下大黑口)이고 어미(魚尾)의 형태는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인데 내향일엽화문어미(內向一葉花紋魚尾)도 나타난다.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저글러 슬롯은 당시를 학습할 때 사용되었으며, 권수에는 1305년(고려, 충렬왕 31)에 쓴 방회(方回)의 서문과 「당삼체시주강목(唐三體詩註綱目)」이 수록되었다. 당시가 지어진 시기에 제작된 당나라 지도와 이에 대한 해설인 「당분십도지도(唐分十道之圖)」, 「당고조개기도(唐高祖開基圖)」, 「당태종혼일도(唐太宗混一圖)」, 「당지리도(唐地理圖)」, 「당번진도(唐藩鎭圖)」 등 5개의 지리도설(地理圖說)이 수록되었다. 삽도에 이어 1309년(충선왕 1) 9월에 배유가 쓴 「구명공교정자목(求名公校正咨目)」, 「제가집주당시삼체가법제례(諸家集註唐詩三體家法諸例)」, 「십조(十條)」, 「당세계기년(唐世系紀年)」이 실려 있다. 이어 당시(唐詩) 작가인 두상(杜常), 벽능(蘗能), 장적(張籍), 두목(杜牧), 왕유(王維), 온헌(溫憲) 등 167명의 성명(姓名)이 나열되었으며, 권수제 아래에는 찬(撰), 주(註), 증주(增註) 등의 저자 사항이 기록되었다. 본문에는 각 167명에 대한 약전(略傳)이 실려 있고 이어 3권으로 나누어 작가들의 시를 수록하였다.
저글러 슬롯은 한시를 학습하려는 사람들이 참고한 일종의 시학 교재(詩學敎材)로써 한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조선 초기에 원나라에서 유입된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번각(飜刻)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