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공예
작품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백제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왕흥사지 출토 5 릴 슬롯기(扶餘 王興寺址 出土 舍利器)
분류
유물/불교공예/5 릴 슬롯장치/5 릴 슬롯장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2019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충절로2316번길 34 (규암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백제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
개설

2019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2007년 왕흥사지 목탑지 발굴 조사 때, 심초석의 남쪽 부분에 마련된 장방형 5 릴 슬롯공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5 릴 슬롯장엄구는 청동제 원통형 5 릴 슬롯함, 은제 5 릴 슬롯호, 금제 5 릴 슬롯병 등 3중으로 구성되었다.

내용

왕흥사 목탑지 심초석 아래 장방형의 석재 안에 5 릴 슬롯구가 안치되었는데, 청동제 5 릴 슬롯합, 은제 5 릴 슬롯호, 금제 5 릴 슬롯병으로 이루어져 있다. 5 릴 슬롯는 불교에서 중요하게 받들기 때문에 다중 구조로 봉안되며, 내부에 들어가는 기물일수록 귀중한 재료로 만든다. 왕흥사의 5 릴 슬롯구도 제일 안쪽에 금제 5 릴 슬롯병을 두었는데, 굽이 있고 아래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호리병 형태로 만들었다. 뚜껑 가운데 보주형 손잡이가 있고 그 주위에 6개의 연꽃잎을 새겨 넣었다.

은제5 릴 슬롯호는 긴 목 아래로 둥근 몸체가 연결되며, 낮은 굽을 갖춘 항아리 형태이다. 뚜껑에는 연봉오리형 손잡이가 있고 주위에는 연꽃잎이 장식되었다. 목 부분에는 접합한 흔적이 남아 있는데,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든 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청동제 5 릴 슬롯함은 바닥이 납작한 원통형이며, 몸체의 위쪽과 아래 부분에 두 줄의 음각선을 둘렀다. 5 릴 슬롯함 뚜껑에도 같은 형태의 음각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새겨져 있다. 뚜껑에 달린 연봉오리형 손잡이는 부러진 채 발견되어 복원되었다.

5 릴 슬롯구 외에도 왕흥사 목탑지 심초석 주변에서는 목걸이, 귀걸이, 팔찌, 허리띠 장식 등 금속공예품과 옥기, 곡옥, 다면옥, 환옥 등 옥공예품이 다량으로 동반 출토되었다. 백제의 뛰어난 세공기술과 조형 수준을 알려주는 유물이면서, 5 릴 슬롯장엄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특징

청동제 5 릴 슬롯함의 표면에는 6행 29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정유년 2월 15일 백제 창왕(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사찰을 세웠고 2매였던 5 릴 슬롯가 신의 조화로 3매가 되었다(丁酉年二月 十五日百濟 王昌爲亡王 子立刹本舍 利二枚葬時神化爲三)”라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사찰의 건립과 5 릴 슬롯구의 제작이 577년에 이루어졌고 창왕이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조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부여 왕흥사지 5 릴 슬롯구는 양호한 상태로 유물이 보존되었고 5 릴 슬롯 안치 법식이 확인되었다.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와 후원자의 신분, 그리고 조성 연유도 살펴볼 수 있다. 백제 후기 5 릴 슬롯봉안 의식과 5 릴 슬롯구 제작, 왕실의 불교 후원 등 다양한 슬롯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019년 6월 26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사』(김리나 외, 미진사, 2011)
『부여 왕흥사지 출토 5 릴 슬롯기의 의미』(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8)
「왕흥사지 목탑과 미륵사지 석탑 5 릴 슬롯장엄의 비교」(이한상, 『역사와 담론』54, 호서사학회, 2009)
「부여 왕흥사지 목탑지 발견 5 릴 슬롯장엄의 양식과 역사적 의미」(신대현, 『역사와 실학』35, 역사실학회, 2008)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